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in Korea

한국 사서직에 대하여

  • 김용근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hip in Korea.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conditions of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have been formalized but lack in fulfilling the standards required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s of and the educational system for librarians. It also traces how the research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activities of the library association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ibrarianship.

이 연구는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찾으려고 시도되었다. 외형적으로는 사서직이 전문직으로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 오래 동안 논의되어 온 사서직 자격제도, 교육제도 등도 다시 고찰한다. 사서직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문헌정보학 연구와 사서들의 의지가 모이는 전문직 단체의 활동은 전문성 확보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논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우리는 사서직의 전문성과 관련된 문제의 지적과 해법은 명확하게 제시하면서 실천과 행동은 주춤하다. 이것은 도서관과 사서직의 철학과 사상, 직업윤리에 대한 고민이 없이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기문, '사서의 전문성,언제까지 계속할 것인가,' 도서관운동, 제5권, 제2호(1999. 6), pp.5-7
  2. 1967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된 문헌정보학 연구논문 2271편 중에서 문헌정보학 이론 50편, 문헌정보학 교육 71편, 사서직과 전문직 39편이다. 손정표,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34 권,제3호 (2003, 9), pp.9-32
  3. 엄영애, '사서직의 전문직 요건과 수행업무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38권, 제3호(2004, 9), pp.159-175
  4. 김세훈 등,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
  5. 박인웅, '한국 사서직의 전문직화 연구,' 도서관학논집, 제25집(1996, 12), pp.207-223
  6. 이제환,'전문직 이론을 통해 본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37권,제2호(2003, 6), pp.57-87
  7. 이용훈,'사서의 전문성 강화 방안,' 도서관, 제57권,제1호 (2002,봄호),pp.17-36
  8. 홍현진,'21세기 정보전문직의 역할과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31권, 제3호 (2000, 9), pp.277-298
  9. 윤정옥,'정보 전문가 소양 기준에 관한 연구,' 도서관,제57권,제4호 (2002, 겨울호),pp.41-62
  10. 이병목, '참사서가 되려면,' 도서관문화, 제45권, 제9호(2004, 9), pp.46-67. 이병목교수는 '우리들의 도서관-오늘과 내일'에서도 사서의 자질에 대하여 제언하고 있다. 도서관문화, 제44권, 제4호(2003.7.8), pp.25-41
  11. 일찍이 한 원로 사서는 사서의 역사적 소명의식이 도서관의 운명을 바꾼다고 피력하였다. '사서들이 지니고 있는 스스로의 발전저해요인도 지식과 기능의 면보다는 자질과 인성 또는 사상과 철학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기초적 인격의 면이 문제로서 훨씬 더 심각하다"라고 지적한다. 조원호, '도서관과 도서관인 윤리.' 동대문도서관보,제7호(1978-79), pp.24-30
  12. 김혜경, 남태우. '한국의 사서직 윤리규정 방향 제안,' 정보관리학회지,제21권,제4호(2004, 12), pp.329-352
  13. 이용훈,'사서의 직업윤리가 필요한 이유,' 제14회 도서관운동연구회 정기토론회 발제자료, [2003.11.22]
  14. 이혜연,'사서자격제도 개선 논의 경과 및 개선방안.' 사서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국립중앙도서관 대강당, [2000.6.19]. 이 개선방안에는 자격부여 방법, 자격구분, 자격관리, 자격에 대한 보상 등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하나의 주제발표는 구본영. '국내외 사서교육과정 변화 양상과 개선 내용" 이다. 이 토론회는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문헌정보학교수협의회, 전국전문대학문헌정보과교육협의회 등의 공동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15. 이제환,'전문직 이론을 통해 본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37권,제2호(2003, 6), pp.79-82. 시험제도의 필요성을 여러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특히 시험제도는 '사서직의 직업적 권위를 제고하는데 기여한다'는 지적이다. 엄영애, '사서직의 전문직 요건과 수행업무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38권, 제3호(2004, 9), pp.168-169, 설문지의 문항 '사서직 자격시험 제도의 도입'에 많은 사서들이 동의하고 있다. '도서관운동연구회'에서는 '사서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토론회' 결과 사서자격 시험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혜연,'사서자격제도 개선 논의 경과 및 개선방안.' 사서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국립중앙도서관 대강당, [2000.6.19]. p.42
  16. 이용훈,'사서의 직업윤리가 필요한 이유,' 제14회 도서관운동연구회 정기토론회 발제자료, [2003.11.22] p.33 '지식과 정보의 대중화로 사회 전반의 정보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서가 늘어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없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김세훈 등,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 p.128. 시험제도는 '제도를 위한 제도'로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17. 이용훈,'사서의 직업윤리가 필요한 이유,' 제14회 도서관운동연구회 정기토론회 발제자료, [2003.11.22] p.34. 최소한 도서관 현장에서는 사서자격의 등급에 따라 상하위 자격등급의 역전현상이히 해소되어야 한다.'라는 지적이다
  18. 김세훈 등,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 pp.128-129. 소정의 과정이란 졸업 후에, 다시 정해진 문헌정보학 과목을 수강한다는 것이다.
  19. 사서직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많다. 논의는 주로 재교육 기관 다양화, 교육기회의 확대, 교육 프로그램개선, 원격교육 시행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20. 이혜연,'사서자격제도 개선 논의 경과 및 개선방안.' 사서자격제도 개선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국립중앙도서관 대강당, [2000.6.19], p.48
  21. 윤희윤 등, "사서직제 개선방안 연구," 국립중앙도서관(2004,12).이 내용은 제42회 전국도서관대회의 세미나에서 발표되었다. 2004.10.15, 부산전시컨벤션센터 공청회
  22. 문헌정보학 교육제도에 관한 학회 차원에서의 논의는 다음의 논문에서 정리하고 있다. 김용근, "한국 사서직의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3권, 제4호(2002, 12), pp.283-306
  23. 사서직의 취업현황은 여러 형태의 자료로 발표되고 있다. 김성숙,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사회진출동향에 관한연구," 도서관, 제58권, 제2호(2002, 여름), pp.39-62.전창호, "도서관 사서직 자격 취업가이드," 디지틀도서관,제18호(2000,6), pp.10-40. 사서e마을: 사서직 취업 커뮤니티. "2004년 사서 정규직 채용공고의 관종별, 지역별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24. 김세훈 등,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2), pp.129
  25. 이미화, "사서직 교육기관 조사: 4년제 과정을 중심으로," 시민과 도서관, 제2권, 제4호(2001, 12), pp.1-57. 이연구는 도서관 현장 사서가 문헌정보학 교육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26. 다음은 현장 사서가 표시하는 '우려'와 '방안'이다. "사서직은 과연 전문직인가", 열린도서관 동호회의 '도서관 이야기' 글 번호 323 , 2004.11.13. "사서보다 도서관 업무를 더 잘 안다", 열린도서관 동호회의 '도서관 이야기'글 번호 320, 2004.10.7
  27. 1996년도 한국문헌정보학교수협의회 정기총회 및 하계세미나에서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의 학부제 교과과정을 소개하였다. 1996.6.21-22, 대전 유성호텔
  28. 여기에 대한 논의는 다음의 논문에서 자세하게 전개하고 있다. 김영기,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실적합성과 실천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4권, 제2호(2000, 6), pp.191-209
  29. 김정근, "한국문헌정보학의 위상정립과 교수협의회의 역할: 우리학문의 실천성 문제와 관련하여," 1996년도 한국문헌정보학교수협의회 정기총회 및 하계세미나 발표요지, (1996.6.21-22: 유성호텔), p.l0
  30. 최성진, '한국문헌정보학에 대하여,' 창사이춘희교수정년기념논총(1993),p.82
  31. 최성진, '광복 50년과 도서관의 세계화,' 제 33회 전국도서관대회 주제발표논문집, (1995), p.7
  32. 이혜연,'문헌정보화의 실천성에 대하여,' 문헌정보학 어떻게 할 것인가, 전공학회 교안모임,(1997), pp.11-12
  33. "문헌정보학 교수님들은 무엇을 했는가" 도메리 글 번호 15783, 2004.10.8., 한국문헌정보학과교수협회와 문헌정보학 분야 6개 학회가 공동으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 배치'에 관한 성명서"를 2004.11.에 발표하고 있다. 여기에는 학교도서관 전문인력 배치에 대한 4가지 기본적인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
  3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와 한국비블리아학회에서는 학술발표회에서 이런 형식으로 하고 있다. 전국도서관대회에서도 대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2004년 대회에서는 "지방분권과 자율의 시대를 선도하는 도서관"이 대주제이다
  35. "사서수당 현실화", "주5일 근무제" 등을 정부 당국에 건의하기 위하여 열리는 토론회 등을 말한다.
  36. 2004년 대회에서 발표된 "사서직제 개선방안 연구"의 경우는 공모주제의 형식은 아니고,국립중앙도서관의 용역사업이다. 이 연구는 '한국 도서관의 기본'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37. 제28회 (1990.11.15-17) 전국도서판대회의 대회주제는 "변천하는 사회와 도서관문화의 재조명"이고, 세부주제로"사서자격제도 이대로 좋은가", "도서관과 사서명칭", "도서관정책 이대로 좋은가", "전문직단체 이대로 좋은가." 등으로 도서관과 사서직에 대한 기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38. 두 대학도서관협의회에서 발표된 논문주제의 영역을 보면 '전문직'을 다루고 있는 논문수는 10.6% (35편)이다. 김용근, "대학도서관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인 문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4권, 제2호(2003, 6), pp.297-316
  39. 다음은 2004년에 개최된 지역 공공도서관협의회의 세미나 주제이다. 서울시 도서관연구회, "웹서비스 발전을 위한 '서울디지틸센터도서관' 구축방안," "서울특별시립공공도서관의 개인정보보호 현황과 대처방안" [2004.11.15] : 한국도서관협회 대구경북지구협의회, "디지털자료와 히이퍼텍스트 활용 DL 및 디지털자료의 활용을 편리하게하는 제반요소들에 대한 비교분석," "공공도서관 디지틸자료실 이용자 만족도," [2004.11.19].,: 인천공공도서관사서연구회,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사서직의 정체성," "영국공공도서관의 발전과정," [2004.12.7]. :한밭도서관개관 15주년 기념 공공도서관 세미나, "21세기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제고 방안," "지식정보시대 공공도서관의비전과 수행전략." [2004.12.1]
  40. "전국사서협회 창립대회 인사말씀," 도서관자료집;(1) 공공도서관 편(신학문사, 1991), p.263
  41. 사서들이 도서관 개혁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은 많다. 곽동철, "사서의 불만과 권익을 오늘도 내일도주창만 할 것인가" 도서관문화. 제45권, 제9호(2004, 9), pp.2-4. 이혜연, "보수의 틀에서 벗어난 현장 사서를 기대한다," 도서관운동, 제2권, 제2호(1996, 6), pp.11-16., 이용훈, "사서의 전문성 강화방안", p.34, "준비하는 사서", 열린도서관 동호회의 '도서관 이야기'. 글 번호 301, 2004.9.1., "현장 사서의 복지부동", 열린도서관 동호회의 '도서관 이야기', 글 번호 280, 2004.6.17. 이 글에 대하여 여러 사서들이 댓글을 쓰고 있다
  42. 정운현, "공공도서관,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문교부 문화부의 싸움 계기로 본 실태," 월간중앙, 171호(1990, 4),p.454
  43. "도서관운동연구회" 인사말. "도서관운동연구회"는 2004. 11부터 활동을 중지하고 있다. 이 연구회에서 간행하던'시민과 도서관'은 2004년 봄호로 종간하고 있다. 지금은 홈페이지까지 폐쇄되고 있다
  44. "열린도서관 동호회 소개 글"이다. "열린도서관 동호회'는 1995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 관련 온라인커뮤니티이다. 홈페이지를 통하여 도서관에 관련된 회원들의 다양한 생각들이 표출되고 있다.
  45. 학교도서관 문화운동 네트워크의 홈페이지에서 네트워크 소개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