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bound Curriculum Developement for Training of Atomic Industry Technician

원자력산업 중견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 good quality of experts the radiation industries in Korea and develop the major subject matter needed in the radiation industries and the curriculum in order to execute it for the variation of fields of employment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in the junior colle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radiation experts engaged in the industries in quality, and it is to improve the social recognition of radiation rather negative now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industry. As for the cor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as to suggest the detailed choice method curriculum proper to the service fields of radiation industries, but it may be subject to change due to each college's property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etailed curriculum by the service field, this study was to organize two subject matters: 1. the subject matter proper to the field of using the radiation, and 2. the subject matters proper to the safety control field of radiation. Second, as for the detailed curriculum by the pattern of industries, this study was to organize the four subject matters: 1. the subject matter needed in the manufactures, 2. the subject matter needed in the nondestructive testing industries, 3. the subject matter needed in the sales agencies, and 4. the subject matter needed in the laboratories.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operational model about the curriculum in order to execute these subject matters. It could be executed as two methods below. First, one method is to execute the major systems by the medical field and industrial field in the third course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in the junior college now. Second, the other method is to make them specialize the industrial radiation in the Advanced Course(one year course) after the graduation of junior college. To operate these curricula successively it needs to assume the deeper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bout the subject matters related to the nuclear radiation industries hereafter. In addition, it needs to solve the security of finance like the manpower of professor, space for practice, and the educational appliances, etc. needed in the operation of subject matters. Finally, the effect and result from the development or revision of college curriculum did not come out in a short time. It will require considerable time until the undergraduates at the department in the junior college finish a set of curriculum newly developed, and graduate the university, and can get the results while they engage in their works in the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all the interested parties have to anticipat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th the patience in long-standing point of view. Also,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it is willing to give them the continuous interest and support.

국내 원자력 방사선 산업의 높은 성장과 전문 인력 수요의 증가는 기술 발전 단계관점에서 기술 공학자 혹은 중간기술자의 수요 확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원자력 방사선 기술의 발전과 이용에 비해 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관은 빈약한 실정이다. 산업체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력은 초중급 기술인력으로 이들을 양성할 교육기관이 필요하며 이들의 교육 수요를 만족시켜줄 가장 유리한 교육기관은 전문대학이라 하겠다. 따라서 현재 의료분야로 편중된 우리나라의 전문대학방사선과 교육과정을 산업체에서도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개발의 내용과 그 범위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교육과정 시행의 대상인 방사선 산업체 관련 인력환경 기초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세부 시행 업무로서 국내의 방사선 산업체 종사자, 전문대학 방사선과 재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두 번째,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국내외 방사선 관련 대학들의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또 이를 위해 국내, 일본, 미국의 방사선 관련 대학의 교육과정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세 번째, 방사선 산업에 필요한 기초 과학 교과목과 방사선 전공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 인증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자력, 방사선 관련 교육 프로그램 지침을 참고로 하였다. 네 번째로 정규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과목 즉 선택형 교과목을 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교과목 운영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과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심화과정 및 부전공제 운영 모델의 개발이 포함되었다. 연구의 핵심 결과는 방사선 산업체 업무 분야에 적합한 선택형 세부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는데, 각 대학의 특성과 교육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첫 번째는 업무분야별 세부교육과정으로, 방사선 이용분야에 적합한 교과목과 방사선 안전관리 분야에 적합한 교과목을, 두 번째로 업체 유형별 세부교육과정으로 제조업체에 필요한 교과목, 비파괴검사업체에서 필요한 교과목, 판매기관에서 필요한 교과목, 그리고 연구소에서 필요한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과목을 시행하기 위하여 교과과정 2가지 운영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첫째는 현재 전문대학 방사선과 3년 과정에서 의료분야 전공과 산업분야전공 별로 전공제를 실시하는 방법과 둘째로, 전문대학을 졸업 후 심화과정(1년 과정)에서 산업방사선을 전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운영모델을 좀더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학제 연구와 더불어 교재의 개발이 전제되어야 하며, 교과운영에 필요한 교수인력, 실습공간, 기자재 등의 재정의 확보 역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