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mascara and eye shadow on theMR image distortion

자기공명영상 왜곡에서 마스카라와 아이섀도의 영향

  • Lee, Hyun-Yong (Dept. of Radiology,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
  • Shin, Oun-Jae (Dept. of Radiology,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
  • Park, Byung-Rae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이현용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진단방사선과) ;
  • 신운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진단방사선과) ;
  • 박병래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artifact which is caused by the mascara and the eye shadow when acquiring MR images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image distor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various pulse sequence. Material and Method : The popular domestic mascara and eye shadow produc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companies respectivel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mascara (M1, M2, M3 ), eye shadow (E1, E2, E3). Self-designed quadrature type saddle coil which has 4 cm inside diameter, 8 cm length and which is for both Tx and Rx was used. MR image was acquired respectively after applying the mascara to the tape from study 1, the eye shadow to the tape from study 2 and adding the eye shadow to the mascara from study 3. The FSE(fast spin echo), the SE(spin echo), the GE(gradient echo) were used as pulse sequences. The degree of the image distortion which was measured from each sequence was analyzed in quality and quantity. Result : The mascara and the eye shadow caused the artifacts to the MR images partially and induced the image distortion.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the degree of artifa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pulse sequence. From the study 3 in which the eye shadow was applied to the mascara, on the axial plane image, the width of artifact was 16.73 mm in the GE pulse sequence, 6.64 mm in the SE pulse sequence, and 6.19 mm in the FSE pulse sequence. The degree of the artifact appeared highly in order of the GE, the SE and the FSE. On the sagittal plane image, the length of artifact was 22.84 mm in the GE, 17.81 mm in the SE and it appeared highly with the SE and the FSE technique order. Conclusion : When examining the eyeball and the brain of a woman with the mascara and the eye shadow, we have to consider that the artifact caused by them can have an effect on the image diagnosis. We concluded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a brain and a eyeball T2 emphasizing image to use the FSE technique than the GE technique.

목 적 : 마스카라와 아이섀도가 자기공명영상 획득시 artifact를 어느 정도 일으키는가를 알아보고, pulse sequence에 따른 영상 왜곡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제 국내 여성들이 많이 사용 중인 3개 제조사의 제품 중 마스카라(M1, M2, M3)와 아이섀도(E1, E2, E3)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자체 제작한 내경이 4 cm, 코일의 길이가 8 cm인 Tx/Rx 겸용의 quadrature type의 안장 코일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마스카라를 실험 2에서는 아이섀도를 실험 3에서는 마스카라에 아이섀도를 덧바른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Pulse sequence는 FSE(fast spin echo), SE(spin echo), GE(gradient echo)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나타난 artifacts는 axial상에서 폭, sagittal상에서 길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 sequence별로 측정된 영상왜곡 정도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마스카라와 아이섀도가 자기공명영상에서 부분적으로 artifact가 발생되어 영상왜곡을 유발하였다. Pulse sequence에 따른 artifact의 유발 정도도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마스카라에 아이섀도를 덧바른 실험 3에서는 axial상에서 GE sequence에서 16.73 mm, SE에서 6.64 mm, FSE에서 6.19 mm의 폭으로 GE 기법에서 가장 많이 유발되었으며, SE, FSE 기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sagittal상에서 GE sequence에서 22.84 mm, SE에서 18.15 mm, SE에서 17.81 mm의 길이로 GE 기법에서 가장 많이 유발되었으며, SE, FSE 기법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 론 : 마스카라와 아이섀도로 화장한 여성의 뇌 및 안구 영상검사시 artifact가 영상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뇌 및 안구 T2 강조영상을 얻고자 하는 경우는 pulse sequence를 GE보다 FSE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