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Model Attractive Dimensions on Model Typicality and Match-up of Apparel Advertisement

모델의 매력도 차원이 모델 전형성과 의류광고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i-Hyun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Il (Department of Business Managemen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In the modem times, consumers are exposed in a plethora of advertisements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Generally, companies try to make eye-catching advertisements by using highly attractive models (HAM). In the case of apparel, consumers mainly collect information on fashion trends from advertisements they see in magazine, newspaper, catalogue, and television programs which are created by marketers. Therefore, the advertisements which are supplied by marketers affect consumers apparel purchasing behavior.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developed to examine how consumers determine the match-up suitability between models in the advertisements and the apparel they promote. As a result, we find two dimensions, sensuality and cuteness, in model attractivenes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ach dimension of the attractiveness plays different role in enhancing model-apparel match-up in the advertisements. Sever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현대인들은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많은 광고에 노출되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는 매력적인 모델을 광고에 사용함으로써 자사의 광고에 소비자들의 주목도를 높이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의류의 경우, 소비자는 주로 잡지, 신문, 카탈로그, TV 광고 등의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나, 마케터가 제시하는 광고가 의류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광고에 사용되는 모델이 소비자에 의해 의류광고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지는 경로를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매력도 차원에는 '관능성'과 '귀염성', 두 차원이 존재하며, 이 차원은 각각 다른 경로로 의류광고 적합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성은 '모델답다', '전형적인 모델이다'로 여겨지는 '모델 전형성'을 통해 의류광고 적합도를 향상시키며, 귀염성은 모델 전형성을 거치지 않고 의류광고 적합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의류모델을 선정함에 있어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