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WAT 모형의 적용을 위한 적정 강우계밀도의 추정

Optimal Rain Gauge Density and Sub-basin Size for SWAT Model Application

  • 유철상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경준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발행 : 2005.05.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장기유출 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적용하는 경우 유출 결과의 정도를 확보하기 위한 강우계 밀도 및 소유역의 규모를 파악하였다. 다차원 강우모형인 WGR모형(Waymire 등, 1984)에 의하여 모의 발생된 강우를 SWAT모형을 통하여 유출해석한 후 다양한 소유역 규모 및 강우계 밀도에 대해 유출 오차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 대상유역인 용담댐 유역의 경우 적정 소유역의 평균면적 및 강우계 1개가 대표하는 면적의 적정규모는 모두 $80km^2$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estimated the optimal rain gauge density and sub-basin size for the application of a daily rainfall-runoff analysis model calle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imulated rainfall data using a WGR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 (Waymire et al., 1984) were applied to SWAT for runoff estimation, and then the runoff error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various rain gauge density and sub-basin size. As results of the study, we could find that the optimal sub-basin size and the representative area of one rain gauge are similar to be about $80km^2$ for the Yong-Dam dam basi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명준, 권순국 (1998). 'SWAT 모형에서의 유출량에 대한 HRU의 영향.'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 349-352
  2. 권명준, 권순국, 홍성구 (2003). '농촌유역 하천의 수질 예측을 위한 SWAT모형과 WASP모형의 연계운영.' 한국농공학회지, 제45권, 제2호, pp. 116-125
  3. 김경탁, 최윤석 (2003) '유역분할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제6호, pp. 911-924 https://doi.org/10.3741/JKWRA.2003.36.6.911
  4. 김상단, 유철상, 김중훈, 윤용남 (2000). '다차원 강우모형의 시간적인 특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3권, 제6호. pp. 783-791
  5. 장대원, 김형수, 서병하 (2003). 'SWAT를 이용한 보청천 유역의 장기-유출 분석과 수질 모델링.'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pp. 2169-2174
  6. 장철희, 김현준, 김남원 (2003). '용담댐 유역의 장기-유출 분석을 위한 AVSWAT 2000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 46-49
  7. 정광식, 유철상, 김중훈 (2001).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WGR 다차원 강우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4권, 제5호, pp. 473-486
  8. 이헌, 차은정, 최영진 (1999a). 'SWAT/GRASS GIS Linkage를 이용한 기후 및 수자원 자료 분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 353-358
  9. 이헌, 차은정, 최영진 (l999b).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한 수자원모델(SWAT)분석 연구.' 한국기상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 290-293
  10. 임상준, Kevin M.B., Saied M., 조재필 (2003). 'HSPF 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유출 및 유사량 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9권, 제4호, pp. 59-64
  11. 황하선, 윤춘경 (2002) 'SWAT과 HSPF의 유출특성 비교.'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2. Chatfield, C. (1989). The Analysis of Time Series: An Introduction, 5th Edition, Chapman and Hall, New York
  13.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4. Waymire, E., Gupta, V.J., and Rodriguez-Itube, I. (1984). 'A Spectral Theory of Rainfall Intensity at the Meso-${\beta}$ Scale.'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0, No. 10, pp. 1453-1465 https://doi.org/10.1029/WR020i010p0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