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 영향분석

Analysis of Hydraulic Effects of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 김상호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
  • 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이을래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 최규현 (건설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정보센터)
  • 발행 : 2005.05.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류부에 위치한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수리학적 홍수추적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과거 8개 홍수기 및 비홍수기 사상에 대해 모형의 보정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팔당댐에서의 다양한 방류조건과 서해안의 조위조건을 이용하여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신곡수중보의 설치로 인한 수위상승 효과는 최대 만조위가 2.4m일 때 잠실수중보 직하류부에서 최고 수위는 약 0.65m, 최저 수위는 약 1.25m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차의 감소는 한강대교에서 최대 만조위가 2.4m일 때 조차가 0.07m로 나타나 약 $90\%$ 의 조차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최대 만조위가 5.5m일 때 조차는 1.6m로 약 $35\%$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강대교 지점의 경우 팔당댐 방류량이 20,000cms 이상이 되면 약 0.06m 이하의 조차가 나타나 조석의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hydraulic effects of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1-D hydraulic flood routing model was used and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8 flood or nonflood events. Flow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outflows of Paldang Dam and tidal data of the Yellow Sea. Water level increase effects by establishment of Singok submerged weir were as following, when maximum flood tidal was 2.4m, highest water level increased about 0.65m, and lowest water level increased about 1.25m in the downstream of Jamsil submerged weir. In Hangang Bridge, due to the Singok submerged weir, when maximum flood tidal was 2.4m, tidal range was 0.07m and decrement of tidal range was about $90\%$. And when maximum flood tidal was 5.5m, tidal range was 1.6m and decrement of tidal range was about $35\%$. When the outflow of Paldang Dam was over 20,000cms, tidal range was below about 0.06m, and tidal effect did not appear hardl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건설시험소 (1983). 한강하류부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 보고서
  2. 국립건설시험소 (1984). 잠실수중보 수리모형 실험보고서
  3. 김동구, 김원, 김상호 (2001).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UNET 모형의 적용.' 2001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673-678
  4. 김상호, 김원 (2002).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수리학적 모형의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5권, 제5호, pp. 485-500 https://doi.org/10.3741/JKWRA.2002.35.5.485
  5. 김상호, 김원, 최홍식 (2003). '한강 및 임진강의 조위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제2호, pp. 301-313 https://doi.org/10.3741/JKWRA.2003.36.2.301
  6. 김 원, 김양수, 우효섭 (1995).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한강 하류부 하도의 조도계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6호, pp. 133-146
  7. 김 원, 김창완, 윤광석, 윤태훈 (2001). '신곡수중보와 조석운동을 고려한 한강 본류의 흐름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3B호, pp. 305-314
  8. 김 원, 우효섭, 김양수 (1996). '1차원 St. Venant 방정식을 이용한 한강 하류부 하도의 홍수류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9권, 제1호, pp. 163-179
  9. 서울특별시 (1986). 한강수위유지시설(하류수중보)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보고서
  10. 안익장, 고진석, 최병호 (1994). '동수역학적 모형에 의한 한강 홍수의 실시간 산정.' 1994년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II), 대한토목학회, pp. 217-220
  11. 유명관, 전경수 (2004). '홍수시 댐 운영방안을 내부 경계조건으로 포함하는 부정류 계산모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2호, pp. 1043-1054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2.1043
  12. 윤태훈, 이종욱, 제갈선동 (2000). '동수역학모형의 매개변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1호, pp. 39-50
  13. 이정규, 이창현 (2003).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한 한강하류부의 조도계수 산정.' 2003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847-850
  14. 이정규, 전세호 (2004)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한강의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4B호, pp. 301-310
  15. 이정규, 전세호, 장기환 (2003). '홍수시 한강 흐름특성에 미치는 수리구조물의 영향 분석.' 2003년 대한 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II), 대한토목학회, pp. 2727-2731
  16. 이종태, 한건연, 서병하 (1993). '한강의 홍수규모에 따른 인도교 수위의 조석영향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 67-77
  17. 한강관리사업소 (1993). 한강하류 수질보전대책 수립 조사 보고서
  18. 한강홍수통제소 (1994). 홍수자료관리시스템구축
  19. 한국수자원공사 (1989). 한강주운개발사업 타당성 조사 보고서
  20. 해양수산부 (2001). 한강 . 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
  21. 황의준, 전경수 (1997). '한강본류에 대한 부정류 계산 모형: 모형의 보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549-559
  22. Fread, D.L. (1974). Numerical Properties of Implicit Four-Point Finite Difference Equations of Unsteady Flow, HRL-45, NOAA Tech. Memo NWS HYDRO-18, Hydrologic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Weather Service, Silver Springs, MD
  23. Fread, D.L. (1987). National Weather Service Operational Dynamic Wave Model, National Weather Service, Silver Springs, MD
  24. Fread, D.L. (1988). The NWS DAMBRK model : Theoretical background and users documentation, Hydrologic Research Lab., Office of Hydrology, National Weather Service. NOAA, Silver Springs, MD
  25. Fread, D.L., and Lewis, J.M. (1998). The NWS FLDWAV Model Quick Users Guide, NOAA, Silver Spring

피인용 문헌

  1. Analysis of Flow Reversal by Tidal Elevation and Discharge Conditions in a Tidal River vol.29, pp.6, 2014, https://doi.org/10.14346/JKOSOS.2014.29.6.104
  2. Current water uses, related risks, and management options for Seoul megacity, Korea vol.77, pp.1, 2018, https://doi.org/10.1007/s12665-017-7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