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st, relationship, and civil society in Scandinavia and East Asia: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analysis

북유럽과 동아시아에서의 신뢰, 관계와 시민 사회: 심리, 사회, 문화적 분석

  • Received : 2005.01.21
  • Published : 2005.01.31

Abstract

The present paper examines tru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ivil society in Scandinavia and East Asia. In the first section, the concepts of trust and democracy are defined. In the second section, the cultural transformations that paved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the West and Scandinavia are reviewed. In the third section, the basis of trust and democracy in East Asia, focusing on Confucianism, is reviewed. In the fourth section, a review of an empirical study conducted with a national sample in Denmark, Sweden, Japan, and Korea is presen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he Scandinavian and East Asian respondents support the basic ideas of liberal democracy and trust close ingroup members. East Asian respondents are less likely than Scandinavian respondents to trust their colleagues and outgroup members and much less likely to trust political and government institutions. Scandinavian respondents prefer tolerant leaders who lead by ideas, while Koreans prefer strong paternalistic and moral leaders. Japanese respondents are less supportive of paternalistic leaders.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in Scandinavia and East Asia, although the basic ideas about democracy and human rights are similar,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se ideas are different. When compared with Scandinavia, there is much low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 East Asia. In the final section, the challenges that the modern democracies face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북유럽과 동아시아에서의 신뢰와 인간관계 및 시민 사회와 관련된 문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신뢰와 민주주의의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렸다. 둘째, 서양과 북유럽에서 민주주의의 발달을 가능하게 한 문화적인 측면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신뢰와 민주주의에 기반이 된 유교 철학에 대해 개관하였다. 넷째, 덴마크, 스웨덴, 일본, 한국에서 실시된 경험과학적 연구의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북유럽과 동아시아의 응답자들 모두, 자유 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이념들을 지지하였고,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가까운 내집단 구성원을 신뢰하였다. 그러나 북유럽 응답자들과는 대조적으로 동아시아 응답자들은 동료나 외집단 구성원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았으며, 정치 조직이나 정부 기관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았다. 북유럽의 응답자들은 민주적이고 관용적인 지도자를 더욱 선호하였으나, 한국의 응답자들은 아버지와 같이 온정적이면서도 강한 지도자를 선호하였다. 반면에 일본 응답자들은 한국보다 아버지와 같이 온정적인 지도자를 선호하는 정도가 낮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북유럽과 동아시아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기본적인 이념은 유사하지만, 이러한 이념을 수행하는 방법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의 민주주의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적인 과제들이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