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rack Condition and Safety Grades in Masonry Buildings

조적조 건축물의 균열양태 및 등급판정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권기혁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04.09.21
  • Published : 2005.07.31

Abstract

In Seoul, structural deterioration is severe in the private masonry buildings which have been built since 1906s. But most of these structures remain without any repair works. As a result, the rate of deterioration is getting faster and these dangerous structures may cause hazardous circumstances to the adjacent structures and neighbor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wall cracks among the defect types which occur in private masonry building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grades and wall cracks for offering the fundamental data. Using these date we can establish basic criteria for safety grades of structur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masonry buil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high correlations between safety grades and the width of crack but much less so with the length. Furthermore, with regard to crack patterns, vertical cracks much more negatively effected the safety grades.

서울지역에, 건축물의 열화는 1960년 이전에 지어진 조적조 건축물에 영향이 크다. 그러나 대부분이 유지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열화율은 더 빨리 진행되며, 근접 건축물과 이웃에게 위험한 상황을 야기 시킬지 모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적조 건축물에 발생한 결함 형태 중 벽체균열의 진행 상태를 연구하고, 건축물의 안전 등급을 제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안하기 위해 안전등급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개선하고자 함이다. 결과로서는 안전등급과 균열 폭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나지만, 균열길이와는 다소 낮게 나타난다. 균열패턴에서는 수직균열이 안전등급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