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적조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Unreinforced Masonry Considering Earthquake Load (지진하중을 고려한 비보강 조적조의 재료특성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

  • 김희철;김관중;박진호;홍원기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93-101
    • /
    • 2001
  • 본 논문은 국내의 비보강 조적조에 대해 내진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재료측성 평가를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조적용 모르터의 압축강도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조적용 모르터의 배합비에 따른 조적조 프리즘의 압축강도 특성을 비교하였다. 조적조 프리즘의 압축강도로써 조적조의 탄성계수를 구할 수 있는 약산식을 제시하였으며, 약산식을 사인장 조적조 실험을 통하여 구한 전단탄성계수값과 비교하여 볼 때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실험결과로써 나온 재료특성 값을 바탕으로 2층 조적조 다세대 주택에 대한 유사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 얻은 전단응력과 전단파괴가 나타난 사인장 조적조의 허용전단응력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Seismic response of Unreinforced Masonry Residential Building (비보강 주거용 조적조의 지진거동 실험)

  • 김재관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9.10a
    • /
    • pp.383-387
    • /
    • 1999
  • 우리나라에 있는 대부분의 주거용 조적조 건물의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비보강 조적조이다, 비보강 조적조 건물에 막대한 피해를 준 1989년의 Loma Prieta 지진을 통해 알수 있듯이 이들에 대한 실험적이고도 이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비보강 조적조의 지진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1/3로 축소된 전형적인 2층 조적조 모델을 제작하였다. 진동대위에서 지진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1층에서의 전단파괴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했던 것 보다는 비보강 조적조 모델의 내력이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Equivalent Static Analysis of Unreinforced Masonry Buildings (비보강 조적조 건물의 등가 정적 해석에 관한 연구)

  • 정상훈;김관중;김희철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1-10
    • /
    • 2000
  • 우리 나라의 주거 건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조적조 건물은 저층이므로 내진 설계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조적조 건물의 경우 저층이라 하더라도 구조특성상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매우 약하므로 내진 설계에 대한 기준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내진설계 시 동적 해석을 수행하면 많은 시간이 소모되므로 실무자들에게 등가정적해석법을 제시하여 내진설계 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저층 조적조 건물은 일반적인 건물과는 거동 특성이 다르므로 저층 조적조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해석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구부의 비율에 따른 조적벽의 연성도, 강도 및 고유주기를 구하여 반응수정계수와 고유주기를 비교하여 우리 나라의 조적조 건물에 적합한 반응수정계수와 고유주기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

Parameter Analysis of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 for URM Buildings Using Capacity Spectrum Analysis (역량스펙트럼 해석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함수 매개변수 분석)

  • Lee, Jung-Han;Park, Min-Kyu;Kim, Hye-Won;Jung, Woo-Young;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83-386
    • /
    • 2009
  • 본 연구는 HAZUS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구조적 손상상태에 대한 지진취약도함수와 관련하여 층간변위율 및 스펙트럼 변위 등의 매개변수를 평가하고 또한 국내 상황에 적합한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곡선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상황을 고려한 지진피해를 추정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현황파악 및 지진취약도함수 산출방법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HAZU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진취약도함수는 역량스펙트럼을 변환시킨 가속도-변위응답 스펙트럼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상황으로 국내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지진취약도함수 개발을 위하여 Midas GEN Ver.741 구조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 23개동의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을 대상으로 역량스펙트럼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지진취약도함수의 주요 매개변수인 손상상태별 층간변위율 및 스펙트럼 변위를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Seismic Performance for Domestic URM Buildings Using Nonlinear Dynamic Analysis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한 국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 Baek, Eun-Rim;Kim, Jung-Hyun;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0 no.3
    • /
    • pp.83-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domestic unreinforced masonry(URM) buildings using nonlinear dynamic analysis. For that, the nonlinear hysteresis models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 were validated for the dynam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haking table test were compared with the dynamic analysis results using the suggested nonlinear hysteresis models. As a result, the nonlinear hysteresis models were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dynamic analysis of URM buildings. Based on the models, the dynamic analysis of domestic URM buildings varying the number of stories and opening ratio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domestic URM buildings were very vulnerable to design earthquake in Korea.

A Study on the Deterioration Factors of Masonry Buildings in Seoul (서울 지역 조적조 건축물의 열화요인에 관한 연구)

  • Kwon, Ki-Hyuk;Mok, Jin-Woo;Kim, Kwang-K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3 no.3 s.10
    • /
    • pp.173-181
    • /
    • 2003
  • Because of the gravitation of population toward large cities, a number of masonry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since 1960's. They have been rapidly deteriorated as time passed b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basic data on timeworn masonry buildings which were managed by the Jung, Mapo and Dobong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and to analyse their deterioration factors as well as interrelation. Through this study, masonry buildings have many problems with foundation and crack is the most effective to deterioration. Also, the store buildings are the weakest structure type and the structure grade have an interrelation with occupancy type mere than any other factor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URM Buildings Using Capacity Spectrum Analysis (역량스펙트럼해석을 통한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

  • Kim, Jin-Seon;Lee, Jung-Han;Kim, Hye-Won;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37-14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진발생 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손상상태 예측 및 내진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건축물을 대상으로 역량스펙트럼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지진피해를 보다 상세하게 예측하고 건축물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 설계 지진하중과 부재의 비선형 특성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는 구조물의 손상상태에 따라 Slight, Moderate, Extensive, Complete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약간의 구조적 피해(Slight)와 보통의 구조적 피해(Moderate) 정도로 나타났으며, 일부 건축물에서 심각한 구조적 피해(Extensive)가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해 구조내진판정지표를 사용하여 내진성능을 판정하였으며 대부분의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이 내진성능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축물에 구조내진 판정지표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스펙트럼 해석을 함에 따라 보다 상세한 구조물의 피해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Seismic Capacity Strengthened by GFS of Masonry Buildings with Earthquake Damage (지진피해를 입은 조적조 건축물의 유리섬유보강에 따른 내진성능)

  • Kwon, Ki-Hyuk;Choi, Sung-Mo;Lee, Soo-Cheul;Cho,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8 no.1
    • /
    • pp.231-237
    • /
    • 2004
  • Most of the masonry buildings have many structural defects under an earthquake load due to the small tensile force and ductility. In the foreign countries there are many the reinforcing methods of masonry buildings, but the glass fiber sheet reinforcements must be used due to various condition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seismic capacity of masonry buildings damaged by earthquake and reinforced by Glass Fiber Sheet. On the basis of test results, the maximum base shear force and deformation of the masonry building with GFS were remarkably increased. From the comparison by existing strength equations and test data, the new strength equation of reinforced masonry buildings with GFS was developed.

Response Analysis and crack Pattern Evaluation of Two Story Masonry Structure under the seismic Load (2층 조적조의 지진하중에 의한 거동해석 및 균열평가)

  • 김희철;이경훈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4
    • /
    • pp.179-190
    • /
    • 1998
  • All brick masonry buildings are constructed without any structural limitation under earthquake load, in Ko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response for seismic loads since the number of earthquake occurances in Korea is increasing. In this paper, the load resisting capacities of brick masonry buildings are investig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and the response due to seismic load are analyzed by applying 0.12g earthquake load. It was observed that the two story masonry building is not safe under the 0.12g earthquake load, especially at the first floor. The cracks were occurred under the bond beam and around the openings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 PDF

Analytical Study on the Seismic Capacity for Existing Masonry Building in Korea (국내 기존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 Heo, Jae-Sang;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3 no.6 s.58
    • /
    • pp.75-87
    • /
    • 2009
  • In this study, FEM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from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regarding to material and member characteristics of masonry. After validation of reliability for the used FEM analysis method, this study is progressed the evaluation of seismic capacity for existing prototype masonry build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for the prototype masonry building, the horizontal shear force and the average shear stress are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