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ing the Distribution Demand Estimation for Urban Rail Transit

퍼지제어를 이용한 도시철도 분포수요 예측모형 구축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new approach method forecasting distribution demand of urban rail transit usign fuzzy control, with intend to reflect irregularity and various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rip length and distribution demand. To establish fuzzy control model and test this model, the actual trip volume(production, attraction and distribution volume) and trip length (space distance between a departure and arrival station) of Daegu subway line 1 were used. Firstly, usign these data we established a fuzzy control model, nd the estimation accuracy of the model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ized gravity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zzy control model was superior to gravity model in accuracy of estimation. Therefore, wwe found that fuzzy control was able to be applied as a effective method to predict the distribution demand of urban rail transit. Finally, to increase the estimation precision of the model, we expect studies that define membership functions and set up fuzzy rules organized with neural networks.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의 중장거리 통행 특성에 따른 통행거리에 대한 분포수요이 불규칙성을 반영하고 통행거리와 분포수요간의 다양한 함수관계를 고려하기 위해서 도시철도 분포수요 예측모형에 대한 퍼지제어를 이용한 접근방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형구축 및 검정을 위한 자료로는 대구시 지하철 1호선의 실제 통행량 자료와 통행거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행량 자료는 역무자동화 기기에서 하루동안 수집된 각 역별 발생량 및 집중량과 역간 분포량을 집계한 것이고 통행거리 자료는 대구시 지하철 1호선의 영업연장을 활용하여 추바역과 도착역간의 거리를 산정하여 집계한 것이다. 모형의 적합성 검토에서는 도시철도 역세권을 기반으로 한 동일한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한 퍼지제어모형과 중력모형을 비교 ${\cdot}$ 검토하였다. 그 결과 증력모형에서는 통행거리 변수가 모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각 변수간의 다양한 함수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퍼지제어모형에서는 통행거리가 상당히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력모형보다 높은 예측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도시철도만의 발생 ${\cdot}$집중량을 토대로 도시철도 분포수요 예측시에는 퍼지제어를 이용할 경우 양호한 예측결과가 기대되어지며, 본 여구에서 미진하였던 초적의 소속함수 정의 와 퍼지규칙 설정문제는 신경망 이론과 조합하면 더욱 진보한 예측의 정도 향상과 모혀안 절대비교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환 . 하만복 . 강덕호(2004), '퍼지추론을 이용한 신호교차로에서의 포화차두시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3-82
  2. 김대웅(2000), '도로계획', 형설출판사, p.661
  3. 김대웅 . 박철구 . 최한규 . 이진욱(2004), '역세권 특성을 고려한 도시철도 수송수요 예측모형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6D호, pp.863-872
  4. 손의영 . 권병우 . 이만호(2004), '카테고리별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하철역별 수요추정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22호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33-42
  5. 이영신 . 이윤배(1997), '퍼지 제어를 적용한 교차로에서의 최적 교통 신호 시스템',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집, pp.167-176
  6. 진현수 . 홍완희 . 김성환(1991), '퍼지이론을 이용한 도시 교통신호등의 제어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부설 수도권개발연구소 연구논총 제 17집, pp.97-103
  7. C. Pappis and E. Mamdani(1977), 'A fuzzy controller for a traffic junction',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SMC-7, pp.707-717 https://doi.org/10.1109/TSMC.1977.4309605
  8. D. Teodorovic(1999), 'Fuzzy logic systems for transportation engineering : the state of the ar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3, p.337 https://doi.org/10.1016/S0191-2615(98)00039-3
  9. D. Teodorovic and M. Kalic(1996), 'Solving the modal split problem by fuzzy rules generated by learning from examples', Proceedings Information Technologies, Yugoslavia, pp.47-54
  10. L.A. Zadeh(1965), 'Fuzzy Sets', Information and Contral Vol.8, No.3, pp.338-353 https://doi.org/10.1016/S0019-9958(65)90241-X
  11. M. Kalic and D. Teodorovic(1996), 'Solving the trip distribution problem of fuzzy rules generated by learning from examples', Proceedings of the Yugoslav Symposium on Operations Research, Zlatibor Yugoslavia, pp.777-780
  12. M. Kalic and D. Teodorovic(1997), 'A soft computing approach to trip generation modeling', the 9th Mini EURO conference Fuzzy sets in traffic and transport systems, Budva Yugoslavia
  13. M. Kalic and D. Teodorovic(1997), 'Trip distribution modeling using soft computing techniques', Paper presented at the EURO.., Barcelona
  14. Shinya Kikuchi(1998), 'Treatment of Uncertainty in Study of Transportation : Fuzzy Set Theory and Evidence Theory',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124 No.1. p.2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98)124:1(1)
  15. Shinya Kikuchi and Dragana Miljkovic(2000), 'Use of Fuzzy Inference for Modeling Prediction of Transit Ridership at Individual Stops', Paper submitted for Presentation at the 2001 annual meeting of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Record, TRB ID 01-2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