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ife-Cycle Assessment and the Case Study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환경경영을 위한 전과정평가(LCA)의 고찰 및 사례 연구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recently, world is progressing large quantity consumption with continuous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and pollution is accelerated at these process. Increase of industry activity and service that is point of corporation activity is dischar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t whole process to manufacture of end product and exhaust process from acquisition of raw material for accompanied product production hereupon. At the same time, being promoting resources consumption by that use much raw material, As a result, is becoming obstacle factors in sustainable development. So, corporation's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s emphasized. Corporation which must prepare in green round or environmental problems should consider environmental effects that is happened over whole life of products that include waste treatment after raw material acquisition and use as well as selling end product simply. A Life Cycle Assessment techniques is normalized and standardized in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or technical committee 207(TC 207) world widely, and effort to apply in corporation's activity because mastering LCA techniques in domestic several corporations is undergone actively. Coming into effect of Kyoto's Protoco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 14000 series revision are presenting new survival principle in competition between country or corporation. LCA technique may become very useful means to corporation which wish to attempt environment management in real condition that awareness for environment is important. Also, An LCA to each product is going to cause big effects in corporation's whole image as well as competitive power raising for single product. Therefore, this research wishes to examine some instances for the future competitive product development at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using LCA techniques and mor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LCA techniques that can dominate corporation's fate.

최근들어 전세계는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대량소비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파괴는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활동의 핵심인 산업활동 및 서비스의 증가는 이에 수반되는 제품 생산을 위하여 원자재의 취득에서부터 최종제품의 제조 및 폐기과정까지의 전과정에서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고있다. 동시에 다량의 원자재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자원소모를 촉진시키고 있으며, 그 결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환경보전을 위한 기업의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그린라운드에 대비해야 하는 기업은 단순히 최종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일뿐만 아니라 원료취득과 사용후의 폐기처리까지를 포함하는 제품의 전과정에 걸쳐 발생되는 환경영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않되게 되었다. 국제적으로는 ISO의 TC207에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 LCA) 기법이 표준화되고 있으며, 국내의 여러 기업에서 전과정평가 기법을 습득하여 기업활동에 적용하려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교토의정서 발효와 ISO 14000 시리즈 정비는 국가간 또는 기업간 경쟁에 새로운 생존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개개의 제품에 대한 전과정평가는 단일 제품에 대한 경쟁력 향상뿐만 아니라 기업 전체의 이미지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전과정평가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그 기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환경친화성 평가 및 미래에 경쟁력 있는 제품개발을 위한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