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Analysis of Wooden Elements Used in the Bulgapsa Temple of YeongGwang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Nam, Tea-Gwang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남태광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5.02.17
  • Accepted : 2005.04.12
  • Published : 2005.05.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pecies of the woods used in the main building (Daewoongjeon) of Bulgapsa temple in YeongGwang. Eighty eight woods sampled were divided into four parts; pillars(21), rafters(19), purlins(16) and other wood elements(12).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Pinus spp. (hard pines; diploxylon), Abies spp., Quercus spp. and Zelkova serrata Makino. Pillars and corner-angle rafters were mainly Zelkova; however, other wood elements were mostly Pinus spp. The high ratio of Zelkova in this building would be ascribed to the preference of this species to pines owing to its superior quality before the late Chosun Dynasty.

영광 불갑사의 대웅전에 쓰인 목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평방, 창방, 도리, 사래, 추녀, 서까래 등 총 88점을 조사하였다. 수종은 경송류(소나무류), 전나무속, 참나무(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등 4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과 사래는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부재는 경송류가 대부분이었다. 기둥과 사래의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은 것은 조선후기 이전에는 소나무보다 재질이 우수한 느티나무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충북대학교

References

  1. 공우석. 2003. 한반도 식생사, 아카넷, p. 579
  2. 김윤수, 김규혁, 김영숙. 2004. 목재보존과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p.391
  3. 문화재청. 2004. 불갑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p. 558
  4. 박병수, 정성호, 서준원. 2004. 진남관 기둥부재의 수종 구성. 2004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지, pp. 217-219
  5. 박상진, 이원용, 이화형. 1987.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p.385
  6. 박상진, 정기호, 김재우. 1999.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목재공학 27(1): 1-8
  7. 박상진. 1983. 범어사 및 무량사고건축재의 구조와 수종. 보존과학연구 4: 59-69
  8. 박상진. 1984. 무위사 극락전 고목재의 수종. 강진 무위사 극락전 수리보고서 문화재연구소, pp. 105-114
  9. 박상진. 2000. 출토 및 목조문화재의 수종. 목조문화재와 전통종이의 수종과 재질에 관한 국제 세미나 프로시딩. 충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pp.31-37
  10. 박용안, 공우석외 24인. 2001 한국의 제4기환경. 서울대학교출판부, p. 564
  11. 박원규, 김세종, 김요정, 한상효. 2003. 조선후기 궁궐건축에 쓰인 목부재의 수종-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2003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55-60
  12. 박원규, 김세종. 2004. 경복궁 근정전 목부재의 수종분석. 목재공학 32(1): 88-95
  13. 박원규, 이진호, 서정욱, 김요정. 2000. 고목재 연륜을 이용한 경회루 건축연대 측정과 산지규명. 한국목재공학회 2000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 268-273
  14. 엄영근, 허광수, 김화성, 2003. 고건축물(광주 고원희 가옥) 구조부재의 수종식별. 2003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논문발표회지, pp. 112-115
  15. 이필우. 1994. 한국산 목재의 구조-현미경적 해부. 정민사, p. 321
  16. 이필우. 1997.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II-목재의 구조 및 성질과 용도. 서울대 출판부, p. 623
  17.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 9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