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pecies Analysis of Wooden Elements Used in the Bulgapsa Temple of YeongGwang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Nam, Tea-Gwang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v.33, no.3, 2005 , pp. 11-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pecies of the woods used in the main building (Daewoongjeon) of Bulgapsa temple in YeongGwang. Eighty eight woods sampled were divided into four parts; pillars(21), rafters(19), purlins(16) and other wood elements(12).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Pinus spp. (hard pines; diploxylon), Abies spp., Quercus spp. and Zelkova serrata Makino. Pillars and corner-angle rafters were mainly Zelkova; however, other wood elements were mostly Pinus spp. The high ratio of Zelkova in this building would be ascribed to the preference of this species to pines owing to its superior quality before the late Chosun Dynasty.
Keywords
wood identification; building; Zelkova; pine; oak; fir; ancient timb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상진. 2000. 출토 및 목조문화재의 수종. 목조문화재와 전통종이의 수종과 재질에 관한 국제 세미나 프로시딩. 충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pp.31-37
2 박원규, 이진호, 서정욱, 김요정. 2000. 고목재 연륜을 이용한 경회루 건축연대 측정과 산지규명. 한국목재공학회 2000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 268-273
3 박원규, 김세종, 김요정, 한상효. 2003. 조선후기 궁궐건축에 쓰인 목부재의 수종-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2003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55-60
4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 95호
5 이필우. 1994. 한국산 목재의 구조-현미경적 해부. 정민사, p. 321
6 이필우. 1997.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II-목재의 구조 및 성질과 용도. 서울대 출판부, p. 623
7 박상진. 1983. 범어사 및 무량사고건축재의 구조와 수종. 보존과학연구 4: 59-69
8 박용안, 공우석외 24인. 2001 한국의 제4기환경. 서울대학교출판부, p. 564
9 박병수, 정성호, 서준원. 2004. 진남관 기둥부재의 수종 구성. 2004 한국목재공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지, pp. 217-219
10 공우석. 2003. 한반도 식생사, 아카넷, p. 579
11 문화재청. 2004. 불갑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p. 558
12 김윤수, 김규혁, 김영숙. 2004. 목재보존과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p.391
13 박상진, 정기호, 김재우. 1999.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목재공학 27(1): 1-8
14 박상진, 이원용, 이화형. 1987.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p.385
15 박원규, 김세종. 2004. 경복궁 근정전 목부재의 수종분석. 목재공학 32(1): 88-95
16 박상진. 1984. 무위사 극락전 고목재의 수종. 강진 무위사 극락전 수리보고서 문화재연구소, pp. 105-114
17 엄영근, 허광수, 김화성, 2003. 고건축물(광주 고원희 가옥) 구조부재의 수종식별. 2003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논문발표회지, pp. 11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