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of Function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Healthy Life-styl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Community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생활습관에 따른 기능적 건강상태의 변화

  • Hwang, Byung-Deog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Choonhae College) ;
  • Lee, Sang-Won (Depar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egu Catholic University) ;
  • Moon, Hyo-Ju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Koo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 황병덕 (춘해대학 보건행정과) ;
  • 이상원 (대구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문효정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성국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ose life style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 changes of health status indices such as ADL and IADL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95 elderly people of age over 65 years living in Gyungbook Sung-Ju area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or one month at October 1996. After 4 years, the follow-up study in those subjects were performed, ADL, IAD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ose subjects who had shown high functional health status in first investigation were measured as how their health were changed in relation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 styles in second investigation. Results: The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life style questions, and 6 factors composed of 15 questions of all were selected as the indices of life style. For ADL 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and educational level in men, and age and economic status in women had significant relation with health status change. Among life style factors, diet factor in men and diet factor, social activity factor in wome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For IADL level, simple analysis showed that age in men and age, education level in wome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had related with health status change. Among life style factors, diet factor, stress relieving factor were related in women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lso controlled diet factor, stress relieving factor were related in women.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functional health status altering in the elder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tervention which could promote healthy life styles such as good diet habit,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nd pertinent stress relieving should be considered.

농촌지역노인들이 평소 실천해온 건강생활습관이 기능적 건강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강상태에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건강생활습관요인들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의 65세 이상 노인 중 8개보건진료소권역의 3개리에 거주하고 있는 노 1,295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6년 10월 한달간 1차 조사를 실시하고 3년 10개월 후인 2000년 7월과 8월에 이들에 대한 2차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추적된 대상자는 1,014명이었다. 건강생활습관의 경우 요인분석을 통해 6개의 요인 15항목의 생활습관 문항을 사용하였다. 1차조사시 고ADL과 고IADL이었던 자만 대상으로 하여 2차 조사시 건강수준의 변화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ADL은 단순분석결과 남자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경제수준, 직업, 교육수준이, 여자는 연령과 경제수준이 건강상태의 변화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일반적 특성이 ADL의 변화에 유의한 변수로 남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여자는 연령과 경제수준이었다. 건강생활습관으로는 남자에서 식이요인이, 여자에서는 식이요인과 사회 참여요인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는 남 여 모두 식이요인이 유의한 변수였다. IADL은 단순분석결과 남자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여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건강상태의 변화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일반적 특성이 IADL의 변화에 유의한 변수로 남자는 연령이, 여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었다. 건강생활습관으로 여자만 식이요인과 스트레스해소요인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여자만 식이요인과 스트레스해소요인이 유의한 변수였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기능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이습관과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 그리고 스트레스해소 등의 건강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보건관련기관과 주민의 참여를 통한 보건교육 및 생활습관의 개선 작업들에 보다 많은 지원과 인력개발 등의 다각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가옥, 서미경, 고경환, 박종돈. 노인생활실태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136-152
  2. 정경희, 조애저, 오영희, 변재관, 변용찬, 문현상.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28-217
  3. Frank P. A survey of health needs of elder in Northwest Johnson County. Nursing Research 1979: 28(6): 360
  4. Katz S, Branch LG, Branson MH, Papsidero JH, Beck JC, Greer DS. Active Life Expectancy. N Eng J Med 1983: 309: 1218-1224 https://doi.org/10.1056/NEJM198311173092005
  5. Tsuji I, Sauvaget C, Minami Y. Fukao A, Hisamichi S.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Its Implication on the Estimate. Asia-Pacific Journal of Gerontology 1995: 20-26
  6. Nagi SZ. Some conceptual issues i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In M.B. Sussman. Sociology and Rehabilitation 1965: 439-467
  7. Lawton MP, Brody EM. Assessment of old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1969: 9: 179-186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8. Joshua M, Wiener, Raymond J, Hanley, Robert C, Joan F, Van N. Meas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isons Across National Survey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1990: 45(6): S229-237 https://doi.org/10.1093/geronj/45.6.S229
  9. 조유향. 농촌지역의 노인 및 생활실태. 한국농촌의학회지 1999: 24(1): 165-179
  10. 古谷野亘, 中里克治, 芳賀博. 地域老人たお けゐ 活動能力の測定めざして, 社會老年學 1986: 23: 35-43
  11. 芳賀博, 柴田博, 松崎俊久, 安村誠司. 地域老人 日常生活動作能力 に關す追 跡的 研究. 民族衛生 1989: 4(5): 217-233
  12. 박천만, 김규종, 中嶋和夫, 이성국, 선우덕, 민경진. 농촌지역노인들의 건강 관련 생활 습관에 대한 일 고찰. 보건과복지 1998: 211-223
  13. 이성국, 백은정, 천병렬, 예민해, 정진욱, 김혜경, 甲斐一部. 농촌지역 노인의 일상생활 동작능력에 관한 추적 연구, 한국농촌의학회지 1998: 23(1): 65-78
  14. 本間 善之, 成瀬 優知, 鏡森 定信. 高齡者に おけゐ 身體 . 社會活動と活動的 餘命, 生命豫後の 關聯について. 日本公衆衛生雑誌 1999: 46(5): 380-390
  15. 安田 誠史, 三野 善央, 久 哲徳, 大原啓志, 豊田 誠, 大平 昌彦. 地城在宅高齡者の日常 生活動作能力の低下に關聯する生活樣式. 日本公衆衛生雑誌 1989: 36(9): 675-681
  16. 이기남, 정재열, 장두섭, 이성국. 일부 전북 지역 노인들의 일상생활 동작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능력. 한국농촌의학회지 2000: 25(1): 65-83
  17. William D, Spector, John A, Fleishman. Combin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out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o Measure Functional Disabilit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1998: 53B(1): S46-S57 https://doi.org/10.1093/geronb/53B.1.S46
  18. David B, Erika M, Ebly, Tak S, Fung Disease, Disability, and Age in Cognitively Intact Seniors, Result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1999: 53A(2): M77-M82
  19. 황용찬, 이성국, 예민해, 천병렬, 정진욱.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수단적 일상생활동작능력과 그에 관련된 요인. 한국노년학 1993: 13(2): 84-97
  20. 김신월, 김영락, 류소연, 박종, 김기순, 김양옥. 곡성지역 독거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능력장애에 관한 조사. 한국농촌의학회지 1999: 24(2): 245-268
  21. 정영옥, 김상순. 일부 농촌 주민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정도. 한국농촌의학회지 1995: 20(2): 133-148
  22. 송주복, 이부옥, 신해림, 정갑열, 김준연.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관련 행위와 질병이 환과의 관계. 예방의학회지 1997: 30(2): 342-355
  23. 김선미, 김양옥, 김기순, 류소연, 이철갑, 안현옥, 박종, 손명호. 일부농촌지역 노인들의 건강증진활동 수행 정도 및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지 1998: 23(1): 79-89
  24. 김정아, 정승교.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한국노년학 1997: 17(3): 117-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