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on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행위변화단계를 적용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a "stage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to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BMI. stage of change. process . and self-efficacy in exercise. Methods :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64 children in the fourth . fifth and sixth grades. from one elementary school. whose BMI was in the H5th percentile or more for their age groups. The control group had 6 1 students from a different one elementary school whose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After the stage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was applied, the BMI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by a significant enough degree to conclude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BMI.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helping relationships. counter-conditioning .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timulus control compared 10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self-efficacy in terms of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A stages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has been shown to engage individual students and encourage them 10 maintain a higher fitness level that promote s self-efficacy in exercise and therefore moves them towards healthier lifestyles. Moreover. the study proved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of BMI was achieved by the stages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권윤정(2001). 노인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범이론적 모형의 적용-.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 김민희(2000). 비만 아동들의 자기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김봉미(2004).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감 증진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순용, 이숙자, 박은숙, 장성옥(2000). 노인운동의 변화단계에 따른 의사결정 균형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2(1), 40-51
  5. 김수미, 송효정, 김남초(2003). 범이론적 모델을 적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운동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5(1), 73-81
  6. 김영희(2003). 일 소도시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비만도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7. 김용재, 한성섭, 백영호(1994).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과 운동처방. 체육과학 연구소 논문집, 10, 281-306
  8. 김이순, 주현옥, 신유선, 송미경(2002). 초.중.고등학교 비만관리프로그램 구축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9(3), 87-105
  9. 김종화, 박영숙(2000).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4(1), 12-25
  10. 김춘자(2002). 제2형 당뇨환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4(1), 83-92
  11. 김희숙(2003). 초등학생 비만관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주
  12. 류현아(2002). 초등학생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13. 박경숙(2002). 학령기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4. 박영란(2003). 학령기 아동의 비만도 변화에 관한 분석. 이화교육논총, 13, 643-655
  15. 박중석(2000). 초등학교 비만 아동 진단과 관리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16. 박지현, 오경옥(2000). 정상아동과 비만아동의 일상 생활스트레스와 대처, 사회적 지지의 비교연구. 충남대간호학술지, 1(1), 1-14
  17. 신철(1991). 정상아와 비만아의 성격특성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8. 오복창(2002). 청소년의 금연행위변화단계별 관련요인-횡이론적 모형에 근거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유선미(2004). 소아, 청소년에서 비만도의 평가지침.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학술대회 연수강좌 자료집, S65-9
  20. 유일영, 이정렬, 이은숙(1998). 초등학생을 위한 비만 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1(1), 91-97
  21. 이동환(1996). 비만아의 진단과 관리. 소아과학회지, 39(8), 1055-1065
  22. 이윤미, 박남희, 서지민(2003). 산업장 남성근로자의 금연변화단계별 변화과정, 자기효능감과 의사결정 균형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5(3), 483-492
  23. 이정임(2001).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산
  24. 이평숙, 장성옥(2001). 운동행위변화단계에 근거한 노인운동 동기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5), 818-834
  25. 전미숙(2003).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26. 정종화, 배현옥(2002). 비만의 식사 및 운동요법.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25-235
  27. 정혜선, 윤순녕, 전경자(2002). 소규모 사업장의 고혈압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산업간호학회지, 11(2), 158-163
  28. 조영숙, 이해정(2003). 노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평가, 자아효능감 및 주관적 건강지각. 성인간호학회지, 15(2), 236-246
  29. 최수전(1998).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30. 한영란(2003). 중고교생의 흡연양상에 대한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모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1. David AD(1994). Physical activity determinants; a social cognitive approach,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6(11), 1395-1399
  32. Laforge RG, Rossi JS, Prochaska JO, Velicer WF, Levesque DA & McHorneym. CA(1999). Stage of regular exerci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reventive Medicine, 28, 349-360 https://doi.org/10.1006/pmed.1998.0429
  33. Nigg CR, Norman GJ, Rossi JS & Benisovich SV(1999).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developing the scale. Poster Presentation Material
  34. Prochaska JO & DiClemente CC(1983). Stage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3), 390-395 https://doi.org/10.1037/0022-006X.51.3.390
  35. Prochaska JO, DiClemente CC & Norcross(1992). In search of how people change : applications to the addictive behaviors. American Psychologist, 47(9), 1102-1114 https://doi.org/10.1037/0003-066X.47.9.1102
  36. Prochaska JO & Velicer FW(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38-48 https://doi.org/10.4278/0890-1171-12.1.38
  37. Stewart GT, Russell RP, Marsha D, Ruth S & Dianne SW(1996).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d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fifth grade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6(4), 145-149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6.tb0823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