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on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Lee, Yeun-Hee (Osan Elementary School)
Jung, Hye-S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a "stage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to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BMI. stage of change. process . and self-efficacy in exercise. Methods :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64 children in the fourth . fifth and sixth grades. from one elementary school. whose BMI was in the H5th percentile or more for their age groups. The control group had 6 1 students from a different one elementary school whose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After the stage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was applied, the BMI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by a significant enough degree to conclude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BMI.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helping relationships. counter-conditioning . reinforcement management and stimulus control compared 10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self-efficacy in terms of exerci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A stages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has been shown to engage individual students and encourage them 10 maintain a higher fitness level that promote s self-efficacy in exercise and therefore moves them towards healthier lifestyles. Moreover. the study proved that a significant reduction of BMI was achieved by the stages of chang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Keywords
stage of change; self-eggicacy; obesity; elementary schoo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혜선, 윤순녕, 전경자(2002). 소규모 사업장의 고혈압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산업간호학회지, 11(2), 158-163
2 한영란(2003). 중고교생의 흡연양상에 대한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모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David AD(1994). Physical activity determinants; a social cognitive approach,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6(11), 1395-1399
4 Prochaska JO & DiClemente CC(1983). Stage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3), 390-395   DOI   ScienceOn
5 Prochaska JO, DiClemente CC & Norcross(1992). In search of how people change : applications to the addictive behaviors. American Psychologist, 47(9), 1102-1114   DOI   ScienceOn
6 김민희(2000). 비만 아동들의 자기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순용, 이숙자, 박은숙, 장성옥(2000). 노인운동의 변화단계에 따른 의사결정 균형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2(1), 40-51
8 김수미, 송효정, 김남초(2003). 범이론적 모델을 적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운동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5(1), 73-81
9 박지현, 오경옥(2000). 정상아동과 비만아동의 일상 생활스트레스와 대처, 사회적 지지의 비교연구. 충남대간호학술지, 1(1), 1-14
10 신철(1991). 정상아와 비만아의 성격특성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1 이윤미, 박남희, 서지민(2003). 산업장 남성근로자의 금연변화단계별 변화과정, 자기효능감과 의사결정 균형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5(3), 483-492
12 전미숙(2003).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13 Nigg CR, Norman GJ, Rossi JS & Benisovich SV(1999).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developing the scale. Poster Presentation Material
14 김봉미(2004).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감 증진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조영숙, 이해정(2003). 노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평가, 자아효능감 및 주관적 건강지각. 성인간호학회지, 15(2), 236-246
16 Laforge RG, Rossi JS, Prochaska JO, Velicer WF, Levesque DA & McHorneym. CA(1999). Stage of regular exerci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reventive Medicine, 28, 349-360   DOI   ScienceOn
17 유선미(2004). 소아, 청소년에서 비만도의 평가지침.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학술대회 연수강좌 자료집, S65-9
18 박경숙(2002). 학령기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9 박영란(2003). 학령기 아동의 비만도 변화에 관한 분석. 이화교육논총, 13, 643-655
20 오복창(2002). 청소년의 금연행위변화단계별 관련요인-횡이론적 모형에 근거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1 이정임(2001).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산
22 박중석(2000). 초등학교 비만 아동 진단과 관리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3 Prochaska JO & Velicer FW(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38-48   DOI   ScienceOn
24 김춘자(2002). 제2형 당뇨환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4(1), 83-92
25 최수전(1998).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6 김이순, 주현옥, 신유선, 송미경(2002). 초.중.고등학교 비만관리프로그램 구축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9(3), 87-105
27 김희숙(2003). 초등학생 비만관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주
28 유일영, 이정렬, 이은숙(1998). 초등학생을 위한 비만 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1(1), 91-97
29 김영희(2003). 일 소도시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비만도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30 Stewart GT, Russell RP, Marsha D, Ruth S & Dianne SW(1996).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d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fifth grade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6(4), 145-149   DOI   ScienceOn
31 권윤정(2001). 노인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범이론적 모형의 적용-.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32 이평숙, 장성옥(2001). 운동행위변화단계에 근거한 노인운동 동기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1(5), 818-834
33 김종화, 박영숙(2000).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4(1), 12-25
34 정종화, 배현옥(2002). 비만의 식사 및 운동요법.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25-235
35 류현아(2002). 초등학생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36 이동환(1996). 비만아의 진단과 관리. 소아과학회지, 39(8), 1055-1065
37 김용재, 한성섭, 백영호(1994).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과 운동처방. 체육과학 연구소 논문집, 10, 281-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