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nding Biomass and Inorganic Nutrients Distribution for a Camellia japonica Stand at Mt. Cheon-gwan(Janghueng-gun, Jeonnam)

천관산(전남 장흥군)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천연림의 현존량과 무기영양소 분포

  • Hwang, Jae-Hong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ang-Tae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Byeong-Bu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Bong-Sam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n, Hyun-Cheol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Kyung-Jae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Nam-Chang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황재홍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이상태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김병부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권봉삼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신현철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이경재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 박남창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above-ground biomass and inorganic nutrient distribution for a Camellia japonica stand located Mt. Cheon-gwan, Jeonnam province. Regression analysis of biomass for stem, current twig, branch and foliage versus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was used to calculat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form of logY = a + blogD(Y: component biomass, D: DBH). Total above-ground biomass for a Camellia japonica stand was 115.2 ton/ha(47.9 for main stem, 1.4 for current twig, 53.4 for live and dead branch, 5.6 for current foliage and 6.9 for ${\geq}1$-yr-old foliage). Component biomass was non-linearly correlated with DBH, and the difference in biomass between ${\geq}1$-yr-old and current foliage increased in proportion to DBH. Current foliage and live branch showed higher N, P and K concentrations compared to ${\geq}1$-yr-old foliage and dead branch, respectively. However, Ca concentration of current foliage and live branch was lower than that of ${\geq}1$-yr-old foliage and dead branch, respectively. Total above-ground inorganic nutrient contents(kg/ha) were distributed as follows; K: 366.4. N: 442.7, Ca: 433.3, Mg: 118.4, P: 50.5 and Na: 25.3. The proportions of inorganic nutrient content for live branch were generally the highest in all the inorganic nutri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난대 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상록수종 중 하나인 동백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각 부위별 지상부 생체량을 추정하고, 주요 무기영양소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지는 전남 장흥군 천관산내 동백나무 임분에서 실시하였으며, 부위별 생체량 추정식은 흉고 직경 단일 변수에 의한 직경 변수 모형을 적용하였다(logY = a + blogD, Y: 중량, D: 흉고 직경). 동백나무 임분의 부위별 생체량(ton/ha)은 주간 47.9, 당년생 소지(小枝) 1.4, 1년생 이상 가지 전체 53.4, 엽 12.5로 추정되었으며, 전체 지상부 생체량은 115.2 ton/ha이었다. 동백나무 부위별 생체량은 흉고 직경과 비선형 관계에 있었으며, 1년생 이상 엽은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당년생 엽과의 생체량 차이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지의 질소, 인산, 칼륨 농도는 고사지보다 높았으나, 칼슘 농도는 고사지가 생지보다 높았고, 당년생엽도 1년생 이상 엽보다 질소, 인산, 칼륨 농도가 높았으나, 칼슘과 나트륨 농도는 오히려 1년생 이상 엽의 농도가 높았다. 주요 무기 영양소 함량(kg/ha)은 칼륨 366.4, 질소 442.7, 칼슘 433.3, 마그네슘 118.4, 인산 50.5 및 나트륨 25.3 순이었다. 모든 무기영양소 함량에서 생지 내에 함유된 무기영양소 함량의 비율이 수체내에서 가장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4. 주요 수종의 임목자원 평가 및 예측시스템. 125 p
  2. 김정언, 길봉섭. 1996.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의 순1차생산력과 잠재자연식생의 변화 추정. 한국생태학회지 19(1): 1-7
  3. 김종성, 손요환, 임주훈, 김진수. 1996.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 조림지의 지상부 생체량, 질소와 인의 분포 및 낙엽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416-425
  4. 김춘식, 원형규, 정진현. 1999. 경기도 광릉 리기다소나무 임분의 지상부 현존량과 양분축적 특성. 산림과학논문집 62: 1-7
  5.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450 p
  6. 박관수. 1999. 충주지역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및 토양 중 탄소고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8(1): 93-100
  7. 박관수, 송호경, 권기원. 2000. 충주지역의 자작나무와 가래나무 조림지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9(2): 249-255
  8. 박관수, 이승우. 2001. 공주, 포항, 그리고 양양 지역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6): 692-698
  9. 박관수, 이승우. 2002. 광양, 무주, 포항 지역 졸참나무 천연림의 현존생물량 및 순생산량. 한국임학회지 91(6): 714-721
  10. 박인협, 류석봉. 1996. 왕대속 대나무림의 물질생산 및 무기영양물 분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453-461
  11. 박인협, 문광선. 1994. 주요 참나무류 천연림의 물질생산 및 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2): 246-253
  12. 박인협, 이석면. 1990.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2): 196-204
  13. 이도형. 2001. 독일가문비(Picea abies [L.] Karst)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량에 관한 연구: 흉고직경에 의한 뿌리생체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90(3): 338-345
  14. 이돈구, 이경재, 신준환, 이경학. 1987. 중부지방 삼림생태계의 물질 생산 및 양료순환. 임산에너지 7(2): 15-32
  15. 이선하, 김상구. 1992. 한국내 동백나무의 자생 분포 및 군락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33(2): 196-208
  16. 이여하, 홍성각. 1991. 쉬나무의 바이오매스 연구. 임산에너지 11(1): 1-10
  17. 이정석, 김춘식. 1988. 후박나무림의 물질생산량에 관하여. 한국임학회지 77(1): 10-16
  18. 최영철, 박인협. 1993. 전남 모후산지역 굴참나무천연림과 현사시나무인공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188-194
  19. Cairns, M.A., S. Brown, E.H. Helmer and G.A. Baumgardner. 1997. Root biomass allocation in the world's upland forests. Oecologia 111: 1-11 https://doi.org/10.1007/s004420050201
  20. Chapman, J.W. and S.T. Gower. 1991. Aboveground production and canopy dynamics in sugar maple and red oak trees in southwestern Wisconsin. Can. J. For. Res. 21: 1533-1543 https://doi.org/10.1139/x91-214
  21. Gower, S.T., J.G. Vogel, J.M. Norman, C.J. Kucharik, S.J. Steele and T.K. Stow. 1997. Carbon distribution and aboveground net primary production in aspen, jack pine, and black spruce stands in Saskatchewan and Manitoba, Canada. J. Geophy. Res. 102(D24): 29029-29041 https://doi.org/10.1029/97JD02317
  22. Hager, C., G. Würth and G.H. Kohlmaier. 1999. Biomass of forest stands under climatic change: a German case study with the Frankfurt biosphere model(FBM). Tellus 51B: 385-401
  23. Hobbie, S.E. and F.S. Chapin, III. 1998. The response of tundra plant biomass, aboveground production, nitrogen, and $CO_2$ flux to experimental warming. Ecology 79(5): 1526-1544
  24. Ingerslev, M. and L. Hallbäcken. 1999. Above ground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a limed and fertilized Norway spruce (Picea abies) plantation, Part II, Accumulation of biomass and nutrients. For. Ecol. Manage. 119: 21-38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507-6
  25. Kim, J.S., Y. Son and Z.S. Kim. 1995. Allometry and canopy dynamics of Pinus rigida,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serrata stands in Yangpyeong area. J. Korean For. Soc. 84(2): 186-197
  26. Kirschbaum, M.U.F. 1999. Modelling forest growth and carbon storage in response to increasing $CO_2$ and temperature. Tellus 51B: 871-888
  27. Kubiske, M.E., K.S. Pregitzer, D.R. Zak and C.J. Mikan. 1998. Growth and C allocation of Populus tremuloides genotypes in response to atmospheric $CO_2$ and soil N availability. New Phytol. 140: 251-260 https://doi.org/10.1046/j.1469-8137.1998.00264.x
  28. Son, Y., J.W. Hwang, Z.S. Kim, W.K. Lee and J.S. Kim. 2001. Allometry and biomass of Korean pine(Pinus koraiensis) in central Korea. Biores. Tech. 78: 251-255 https://doi.org/10.1016/S0960-8524(01)00012-8
  29. Son, Y., I.H. Park, M.J. Yi, H.O. Jin, D.Y. Kim, R.H. Kim and J.O. Hwang. 2004.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a natural oak forest in central Korea. Ecol. Res. 19: 21-28 https://doi.org/10.1111/j.1440-1703.2003.00617.x
  30. Steele, S.J., S.T. Gower, J.G. Vogel and J.M. Norman. 1997. Root mass, net primary production and turnover in aspen, jack pine and black spruce forests in Saskatchewan and Manitoba, Canada. Tree Physiol. 17: 577-587 https://doi.org/10.1093/treephys/17.8-9.577

Cited by

  1. Biomass and Nutrient Stocks of Tree Components by Stand Density in a Quercus glauca Plantation vol.105, pp.3, 2016, https://doi.org/10.14578/jkfs.2016.105.3.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