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ajor role of school librarians in Korea has been providing reading guidance and library user education with paper resources. However, digital users have become more ubiquitous and demand more information with the images and digital materials. Therefore, school libraries need to collect more images and digital materials. At the same time, school librarians have to equip themselves with the ability to cope with this transformation. The qualified school librarians not only should have a teaching certificate but also know about techniques to transform various library materials into digital formats. Teachers and students could use these materials for their Web site homepages and Powerpoint presentations.
학교 도서관의 이용자가 영상세대의 유비쿼터스 이용자, 포스트 디지털 이용자가 되면서 학교도서관의 소장 자료도 이미지와 디지털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하여 교수-학습 자료로서 이용되어야만 학교도서관이 그 기능을 다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사서들이 종이 자료를 다루는 기술은 물론 도서관의 자료를 변환하는 기술도 습득하여 중요한 자료를 변환 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이 교과목에 꼭 필요한 이미지나 디지털 자료를 만들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도와주어야 교수-학습자료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은 사서교사들이 사서자격증을 가지는 것은 물론 첨단 정보기술능력도 갖출 때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