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KOREAN ADOLESCENTS

청소년기 정서 및 행동문제의 성차

  • Lee, Hyunji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NHIC Ilsan Medical Center) ;
  • Ha, Eun-Hye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 University) ;
  • Oh, Kyung-Ja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이현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정신과) ;
  • 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오경자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s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 K-YSR (Korean-YSR) data from 6570 Korean adolescents (2549 boys and 4021 girls) and K-CBCL (Korean-CBCL) data from 2373 parents (boys 1173 and girls 1200) between the ages of 12 to 17 were analysed.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boys reported higher mean scale scores on the Social Problems, Delinquent Behavior, whereas girls showed higher mean scale scores on the Withdrawn, Somatic Complaints, Anxious/Depressed and Aggressive Behaviors as well as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in K-YSR. Girls also reported higher scores on the Social. as well as Total Competence Scale. Also parents reported higher mean scale scores on the Attention Problems, Delinquent Behavior in their boys, whereas reported higher mean scale scores on the Withdrawn, Somatic Complaints, Anxious/Depressed and Aggressive Behaviors as well as Internalizing Problems in their girls in K-CBCL. Parents reported no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social competence scales. Conclusion : In both K-YSR and K-CBCL, girls consistently showed higher scores in the Internalizing Problem sca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Externalizing Problem scores, but girls showed higher mean score in the Aggressive Behavior scal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증후군과 사회능력에 있어서의 성차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12세에서 17세 사이의 청소년 6570명(남 2549명, 여 4021명)의 K-YSR자료와 부모 2373명(남자 청소년 1173명, 여자 청소년 1200명)의 K-CBCL자료를 분석하였다. K-YSR분석 결과, 남자 청소년은 사회적 미성숙 척도와 비행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했고, 여자 청소년은 내재화 문제와 총행동문제증후군 척도에서 뿐만 아니라 위축, 신체 증상, 우울/불안, 공격성 척도에서도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하였다. 또한 여자 청소년들은 사회성과 총 사회능력 척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K-CBCL에서는 부모가 남자 청소년에 대해 주의집중 문제와 비행 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하고 있는 반면, 여자 청소년에 대해서는 내재화 문제 뿐 아니라 위축, 신체 증상, 우울/불안, 공격성 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하였다. 부모의 보고인 K-CBCL의 사회능력 척도에서는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요약하면, K-YSR과 K-CBCL 모두에서 여자 청소년들은 내재화 문제에서 일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외현화 문제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자 청소년의 경우 외현화문제에 해당하는 소척도 중 공격성 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