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50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or Development of Fire Identification Simul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Representative Simulation (화재감식 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국외 대표적 화재 시뮬레이션 비교 분석)

  • Lee, Jung-Hyun;Kim, Ha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127-130
    • /
    • 2011
  • 화재 시뮬레이션이라 함은 현실적으로 화재의 재현은 불가능한 관계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재모델을 표현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으로 이것을 시뮬레이션이라 하며, 이를 통하여 대상물의 특징을 해석 규명하여 현실화 한 것이 화재 시뮬레션이다.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화재시뮬레이션의 필요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선 개발자체가 지지부진한 상태이며, 금번 화재감식 시뮬레이션의 개발에 앞서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재 시뮬레이션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미력이나마 시뮬레이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re in Vertical Space Using CFAST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직공간의 화재특성 분석 연구)

  • Park, Hyun-Jun;Kwon, Jin-Suk;Choi, Jae-Hyo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0-190
    • /
    • 2011
  • 사회 다변화 및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밀집화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으로 인하여 막대한 인명피해 및 대규모의 재산상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의 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제 규모의 화재실험이 매우 유용하지만, 막대한 비용과 현실적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실제 실험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실제규모의 화재실험의 대체방법으로 실제를 모사하는 축소모형 화재모의실험 및 컴퓨터를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 컴퓨터를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CFAST)을 이용하여 수직 공간 구성을 가지는 단독주택의 화재 성상을 검토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로는 단독주택을 대상건물로 하여 2층으로 수직 공간을 가지는 단독주택 건물에 대한 모의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 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 구획실별 온도, 일산화탄소량, 공기 중 산소량 등을 도출하여 기존 이론에 의한 화재성장 그래프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가지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1) 시나리오 1 : 화재시뮬레이션 대상건물 1층 거실(2번방)에서 스프링클러 미 설치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수평방향인 3번방과 수직방향인 7번방의 화재 확산 피해정도를 살펴보고, 화재 그래프의 이론값과 실험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정합성을 검토하였다. 발화물질은 Curtain, TV set, Sofa, Table으로 하며 시간은 60초 간격으로 총 3600초(1시간)를 분석 하였고, 발화지점의 온도, 일산화탄소, 공기중 산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2) 시나리오 2 : 시나리오 1과 동일한 화재발현 조건으로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을 때 화재 발생 했을 경우, 수평방향인 3번방과 수직방향인 7번방의 화재 확산 피해를 시나리오 1과 비교 검토 하였다. 기존 이론에 의한 화재 성장 그래프와 이번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토대로 만든 그래프 형태를 비교해보면 두 그래프의 형태가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어 Flash Over 현상과 Back Draft 현상이 이론값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수행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건축물의 실제 화재시의 피해정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basic theory in fire simulation using SOFIE (SOFIE를 활용한 화재 시뮬레이션에 관한 기초적 연구)

  • Lee, Jung-Hyun;Kim, Ha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266-269
    • /
    • 2012
  •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에 설치된 감지 시스템 및 자동식 소화설비 등의 작동 여부에 따라 건물 내부의 온도 변화, 산소 및 일산화탄소 농도 변화, 연기유동 현상 등 화재 안전에 관련된 요소를 확인,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물의 화재 안전성을 검증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 방재시스템 설계 조건을 변경하여 반복 시뮬레이션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성이 높은 방재 시스템을 설계 및 채택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를 감안하여 유사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방재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건축물의 구조, 내장재 및 수용품에 대한 설계, 배치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재사고조사 및 원인 규명에도 활용할 수 있는 등 화재 시뮬레이션의 활용분야는 광범위하다. 최근 국내에도 화재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와 화재 안전 설계에 대한 관심증가로 화재 모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결과 분석에 치중되어있고 화재 시뮬레이션에 관한 특성 연구 및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자료는 국내에서 화재 시뮬레이션 코드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유럽에서 개발된 SOFIE(Simulation of Fire in enclosures)에 대해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SOFIE에 대한 특정 문제나 평가 부분은 다루지 아니하였다.

  • PDF

Study on Scenario Examining Applicability of Comprehensive Model of Fire Spread and Evacuation (화재 확산 및 피난 통합 모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시나리오 연구)

  • Kim, Tae-Woon;Lee,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37-338
    • /
    • 2008
  • 화재시뮬레이션과 피난시뮬레이션은 일반화 되어있으나 이들을 모두 고려한 통합 시뮬레이션의 모델은 잘 알려진 바 없다. 피난은 화재 상황의 영향을 받으나 그 역은 성립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통합시뮬레이션은 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 데이터를 피난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가 피난상황에 영향을 주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과, 그를 위한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필수적인 기능과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기본적 경로변경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검토해 본다.

  • PDF

Adopting Reinforcement Learning for Efficient Fire Disaster Response in City Fire Simulation (도시 화재 시뮬레이션에서의 효과적인 화재 대응을 위한 강화학습 적용 솔루션의 설계 및 구현)

  • Yeo, Sangho;Oh,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04-106
    • /
    • 2021
  • 도시의 인구 밀집도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의 단위 면적당 건물 밀집도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도시 화재는 대규모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도시 내 대규모 화재로 인한 인명 및 경제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화재 대응 방안들이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시뮬레이션에서 효과적인 화재 대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강화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 상태 정보 및 화재 대응을 위한 행위 공간의 크기가 증가함으로 인해 강화학습의 복잡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학습 확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규모 증가 시 강화학습의 학습 확장성을 유지하기 위해, 화재 상황 정보와 재난 대응을 위한 행위 공간을 변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에 강화학습 모델의 학습이 어려웠던 대규모 도시 재난시뮬레이션에서 본 기법을 적용한 강화학습 모델은 학습 수행이 가능하였으며, 화재 피해가 없는 상황의 적합도를 100%로 하고, 이것 대비 99.2%의 화재 대응 적합도를 달성했다.

Introduction to fire modeling for use in fire scene reconstruction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조사)

  • Seok, Mi-Hye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10 no.1
    • /
    • pp.77-86
    • /
    • 2007
  • 컴퓨터 화재 모델링은 1960년대부터 연구 개발되어 왔지만, 화재조사 및 감식 분야에서는 미국의 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와 영국의 BRE :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BRE를 중심으로 약 10여년 전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처음 화재 모델링이 개발되었을 때에는 화재 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만 사용되어 그 활용분야가 제한적이었으나, 방화공학적인 분석기법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요즈음에는 화재현장을 재현하고 예측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화재모델링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화재 조사에 적용된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 조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assenger Evacuation Results Using CFAST and FLUENT (CFAST 와 FLUENT 화재유동해석을 통한 승객피난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분석)

  • Jang, Yong-Jun;Park, Won-Hee;Jung, Woo-Sung;Lee, Chang-Hy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11a
    • /
    • pp.1354-1361
    • /
    • 2007
  • The evacuation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boundary condition of a fire simulator, referring to Dae-gu Subway Fire Accident which was a real station fire. The subway station was modelled from B3F station building to B2F waiting room in fire simulation. Also, a fire simulation were performed with CFAST and FLUENT. In CFAST, the total 29 zones were divided into 18 station buildings in B3F and 11 station buildings in B2F. In FLUENT, the simulated space had the same establishment as zone of CFAST. The study focused on possibility for application of fire simulation in underground station by comparing the resulted values from two simulators. For application of fire effect, the fire data were loaded directly to EXODUS in the case of CFAST and performed a passenger evacuation simulation. In the case of FLUENT, Out Data values of a fire simulation were difficult to be compatible with EXODUS. Two resulted values of passenger evacuation simulation by fire simulation were compared with the Dae-gu Subway Fire Accident in reality.

  • PDF

Simulation of Fire Evacuation Induction System Using Smartphone Navigation Application

  • Shin, Dongmin;Jeon, Seongman;Lee, SungPil;Cho, Byungj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2
    • /
    • pp.243-251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system by us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in case of fire. In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it was assumed that a fire occurred 6th floor in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Design Promotion located in C city, K province. Eighty juniors students from K University's department of paramedics of science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emonstration simulation using the navigation application showed that the evacuation time was faster than the case of evacuation guidance in a fire situation. The need for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fire prevention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increased the need for a fire prevention system and fire prevention awareness score after the experiment.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Fire Propaga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I) - The Fire Propagation Model Ejectde from Opening Fire Plume (건축물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 확대 모델 개발 및 적용사례(I) - 개구분출에 기인한 연소 확대 모델 -)

  • Kang, Seung-Goo;Hong, Hae-Ri;Kim, Dong-Eun;Kwon, Young-Jin;Shin, Yi-Chul;Ohmiya, Yoshifumi;Hayashi, Yoshihiko;Otsuki, Masat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67-72
    • /
    • 2011
  • 본 연구는 건축물 화재성상 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건축물 화재시 높은 비중의 가연물과 좁은 이격거리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급격히 연소확대될 위험성이 높고, 개구분출화염이 건물 화재확산의 중요한 요인이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또한 화재성상 예측시 기존 시뮬레이션에서 화재확산의 중요한 인자인 바람의 요소가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개구분출 실물화재실험을 통하여 유풍시 개구분출화염에 기인한 수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기존의 바람 인자를 고려하지 않은 화재성상 예측 시뮬레이션에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화재 성상 시뮬레이션 개발 구축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 PDF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yu, Sang-Hoon;Moon, Sung-Woong;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