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lothing Attitude, Body Attitude, and Social Values of Adolescent Girls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와 의복 및 신체태도와의 관계

  • Jhun Yong-M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M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전용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이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lothing and body attitud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o examine how clothing and body attitude were influenced by social values and demographic variable of adolescents. The questions of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clothing attitude, body attitude, and social values. Four dimensions of social values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the sense of estrangement',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materialism', and' the sense of community'. Subjects were 373 adolescent girls in Seoul(182 middle school students and 191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conformity to entertainers' dresses was influenced by materialism and age(-). Clothing aesthetics was influenced by materialism and allowance, and fashion was influenced by materialism. Second, the interest of plastic surgery was influenced by materialism and allowance. The interest of weight was influenced by the sense of estrangement, school grade(-),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 materialism, an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interest of makeup was influenced by allowance, school grade(-), and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 Appearanc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sense of estrangement(-) an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present result means that social values such as materialism and the sense of estrangement are significant variables to understand the appearance attitude of adolesc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태. (1975). 청년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2. 구자명, 이명희. (1994). 남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사회성 및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5), 153-163
  3. 구자명, 이명희. (1997). 여대생의 의복충동구매 차원과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유행몰입과 유명상표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35-45
  4. 김광경. (1973). 1학년 여대생의 가치관과 의상관심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경희. (1983). 여대생의 사회적 가치관과 의복착용동기와의 관계: 서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경희, 김미숙. (1997). 유행선도력에 따른 여고생의 구매 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3), 487-501
  7. 김동철. (1996).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호경향과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용덕, 신수연. (1998). 여고생의 캐주얼 의류 상표충성도에 관한 연구. 복식, 39, 125-138
  9. 김정애. (2001). 여고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현희, 유태순. (2002).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251-262
  11. 류은정, 임숙자. (1998). 소비자 가치체계와 외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749-759
  12. 문선정. (1994). 연예인의 유행스타일 선호도에 따른 유행선도력 및 의복태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우미. (1993). 우리나라 여성의 신체구조에 대한 의식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1(1), 163-180
  14. 백형진. (1998). 중학생의 사회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변기혜. (1983). 여고생의 의복생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송경자, 김재숙. (1999). 신체이미지, 신체왜곡 및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태도적.지각적 신체이미지 측정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5), 68-79
  17. 신귀희. (1980). 가치관과 의상흥미 간의 상관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심정은. (1996).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 행동과의 관련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아이두. (2004). 자료검색일 2004, 9. 1, 자료출처 http://www.idoo.net/?menu=nocut
  20. 위드. (2004). 자료검색일 2004, 9. 3, 자료출처 http://www.mywith.net
  21. 윤소영. (2001).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경아, 유태순. (1997). 물질적 가치 수준에 따른 의복의미와 의복가치관의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1(3), 524-535
  23. 이가영. (1997). 신세대 의복행동에 나타난 TV의 영향에 관한 연구-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명희. (1999). 청소년의 가정환경 및 학교생활적응이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46, 143-158
  25. 이명희. (2003).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3), 1101-1111
  26. 이명희, 이은실. (2000).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의복의 규범적 동조 및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3), 245-256
  27. 이미숙. (2000).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이유선. (1998). 남녀 고등학생의 사회적 가치관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이은정. (1999). 청소년 소비자의 물질주의 성향에 관한 연구: 준거 집단 영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이충훈. (1991). 텔레비젼 시청이 고교생의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전경란. (2002). 여성의 욕구, 자아 존중감과 성형 및 의복태도 관련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정건화. (1994). 한국의 자본축적과 소비양식의 변화. 서울: 한울
  33. 정범모. (1995). 가치관과 교육. 서울: 배영사
  34. 정진봉. (1999).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조규화, 김보경. (2000). 서울시내 여중.고생의 화장품 소비 실태 조사연구. 패션비즈니스, 4(4), 107-1211
  36. 조선명. (2000). 외모에 대학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조용진. (1999). 얼굴: 한국인의 낯. 서울: 사계절출판사
  38. 최은영. (2001). 소비자의 생활한복 채택과정에 대한 연구-Rogers의 혁신 채택 모델을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최혜선. (1981). 의복행동과 사회적 안전감-불안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상에 관한 연구. 서울: 문영사
  41. 홍선옥. (1998). 청소년의 비행정도와 의복태도 및 의복착용 시 영향집단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2. 홍혜은. (1999). 청소년의 TV 미디어 스타에 대한 의복동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서울시내 여자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Brown, T. A., Cash, T. F., & Mikulka, P. J. (1990). Attitudinal body image assessmen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ment, 55(1/2), 135-144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501&2_13
  44. Costanzo, P. F., & Show, M. E. (1966). Conformity as a function of age level. Child Development, 37, 967-975 https://doi.org/10.2307/1126618
  45. Creekmore, A. M. (1963). Method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 Michiga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Project no.783, Michigan State University
  46.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in Co
  47. Kluckhohn, C. (1962). Values and value orientation in the theory of action. In Parsons, T., & Shils, E, A. (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New York: Harper & Row
  48. Richards, E. A., & Hawthorne, R. E. (1971). Values, body cathexis, and clothing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Home Economics, 63(3), 190-194
  49. Miller, L., & Cox, C. (1982). For appearance' sake: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makeup us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8, 748-751 https://doi.org/10.1177/0146167282084023
  50. Workman, J. E., & Johnson, K. K. P. (1991). The role of cosmetics in impression forma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1),63-67 https://doi.org/10.1177/0887302X91010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