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I 도료 패턴과 폴딩 각도에 따른 휴대폰의 SAR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R Variation by EMI Paint Distribution and Folding Angle for Mobile Handsets

  • 양운근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
  • 이원규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
  • 손지명 (인천대학교 전자공학과)
  • Yang, Woon-Geun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 Lee, Won-Kew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 Son, Ji-Myoung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University of Incheon)
  • 발행 : 2005.09.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front case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도료 패턴과 폴딩 각도 변화에 따른 SAR(Specific Absorption Rate) 값의 변화를 전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아 휴대폰 개발 초기 단계에서 SAR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첫 번째, front case에 칠해진 EMI 도료의 여러 가지 패턴을 모델링한 휴대폰에 적용하여 전산 모의 실험을 한 결과 EMI 도료 패턴에 따라 다른 SAR 값을 보였다. EMI 도료 패턴에 따른 SAR 값에 대한 전산 모의 실험 중 EMI 도료가 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헤어핀 패턴이 가장 좋은 $8.04\%$의 감소 효율을 보였고, EMI 도료가 없는 경우 $5.94\%$의 감소 효율을 보였다. 이때 폴딩 각도는 $150^{\circ}$로 하였다. 두 번째, 폴딩 각도를 $140^{\circ},\;150^{\circ},\;160^{\circ}$로 변화하면서 SAR 값에 대한 전산 모의 실험을 하였다. 전산 모의 실험에 사용된 모델의 경우 폴딩 각도를 늘릴수록 SAR 값이 감소함을 보였다. 폴딩 각도가 $160^{\circ}$이고 기준 패턴을 적용하였을 때 SAR 값은 1.61 W/kg이 되었으며, 제안한 헤어핀 패턴을 폴딩 각도가 $160^{\circ}$일 때 적용한 결과 가장 낮은 SAR 값인 1.45 W/kg의 값을 얻었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consider SAR(Specific Absorption Rate) problem at the beginning stage of a handset development, we investigated the Shh value change by using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aint patterns on front case of a handset and folding angles. First, we made some experiments with EMI paint pattern on front case of a handset, and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patterns of EMI paint had different SAR values. Among the simulation results on SAR value according to EMI paint patterns, the hairpin patter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e. the decrease efficiency of $8.04\%$ and completely removed pattern showed the decrease efficiency of $5.94\%$. Orignal pattern was set as the reference and the folding angle was $150^{\circ}$. Second, simulation was carried out with changing folding angle from $150^{\circ}$ to $140^{\circ}$ and $160^{\circ}$. Simulation results for the modeled handset showed that SAR valu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folding angle. When the folding angle was $160^{\circ}$ and with original pattern, we got the SAR value of about 1,61 W/kg. When we applied hairpin pattern with the folding angle of $160^{\circ}$, we got the lowest SAR value of about 1.45 W/kg.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성호, 이재향, 김남, 오학태, 장영호, 'RF 전자파의 생체 영향 매커니즘 분석', 한국전자파학회지 전자파기술, 14(2),pp. 92-99, 2003년 4월
  2. 전자파뉴스, 2004년 9월호
  3. 전자파 인체 보호기준(안), 정보통신부, 2002년 12월
  4. 이규호, 양운근, 이형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모의 인체두부 내의 SAR 분포와 EMI 도료조건에 따른 SAR 저감방법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공학기술연구논문집, 17(1), pp. 25-32, 2002년 9월
  5. Won Kew Lee, Ji Myoung Son, and Woon Geun Yang, 'SAR variation by EMI paint distribution on front case of mobile handsets', Proc. of ICEIC 2004, pp. 339-342, Aug. 2004
  6. 유재성, '전자파와 EMI Shielding 관련 기술 동향', (주)펨텍 기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