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ydration Reaction Model of Expansive Additive of Ettringite-Gypsum Type

에트링가이트-석탄 복합계 팽장재의 수화반응 모델에 관한 연구

  • Park Sun Gyu (Taejon Technology Appraisal Planning Dept., Korea Technology Credit Guarantee Fund) ;
  • Takahumi Noguchi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okyo University) ;
  • Kim Moo-Han (Dept. of Architectru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High-performance concrete (HPC), which is particularly sensitive to self-desiccation, is required to be durable even in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i.e. costal area, cold district, etc. However, in recent years, some attention was particularly given to cracking sensitivi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t early age. It has been argued and demonstrated experimentally that such concrete undergoes autogenous shrinkage due to self-desiccation at early age under restrained condition, nd, as a result, internal tensile stress may develop, leading to micro cracking and macro cracking. This shrinkage-introduced crack produces a major serviceability problem for concrete structures. One possible method to reduce cracking due to autogenous shrinkage is the addition of expansive additive. Tests conducted by many researches have shown the beneficial effects of addition of expansive additive for reducing the risk of autogenous shrinkage-introduced cracking. However, the research on hydration model of expansion additive has been hardly researched up to now.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the hydration model of Ettringite-Gypsum type expansive additive. As a result of comparing forecast values with experiment value, proposed model is shown to expressible of hydration of expansive additive.

고성능 콘크리트는 단위 시멘트량이 많기 때문에 초기재령에 있어서 시멘트의 급속한 수화반응으로 인해 시멘트 경화체는 자기수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수축 변형이 발생한 부재가 외부 또는 내부 구속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수축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초기재령에 발생한 수축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관 및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이러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 팽창재의 혼입에 의한 수축보상이 있는데 자기수축 저감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팽창재에 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에 관한 연구는 실험에 근거한 연구로서 정량적인 연구가 아닌 정성적인 연구가 대부분 이었다. 이러한 팽창재에 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저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팽창재의 수화반응 모델부터 시작하여 팽창재에 의한 시멘트 경화체의 팽창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재령의 자기수축 저감을 목적으로 초기재령에서 빠른 팽창력을 발휘하도록 재료 설계된 에트링가이트-석회 복합계를 대상으로하여, 팽창재의 입도분포 및 수화의 진행에 따른 인접겔과의 접촉을 고려한 팽창재의 수화반응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팽창재의 수화반응모델을 실험적으로 모델의 타당성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팽창재의 수화반응 모델은 실험치를 양호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日本コンクリ-ト工學協會, コンクリ-トの自己收縮委員會報告書, 日本コンクリ-ト工學協會, 2002, pp.114-115
  2. B. Persson, 'Self-Desiccation and Its Importance in Concrete Technology', Material and Structure. Vol.30, 1997. 7, pp.293-305 https://doi.org/10.1007/BF02486354
  3. 保利影宏他 외 3인, '膨張材を混和した各種高流動モルタルの自己收縮', コンクリ-ト工學年次發表論文集, Vol.20-2, 1998, pp.163-168
  4. 일본공업규격협회, JIS A 6202 [コンクリ一ト用膨張材], 1997.
  5. 山本賢司 외3인, '應張材の混和したセメントの膨張機構', コンクリ-ト工學論文集, Vol.14, No.3, 2003, pp.23-32
  6. 盛岡 実 외3인, '膨張材の水和反應と材料設計', セメント協會論文集, No.54, 2000, pp.111-116
  7. M. Ish-Shalom, 'Properties of Type K Expansive Cement of Pure Compon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4, 1974, pp.519-532 https://doi.org/10.1016/0008-8846(74)90003-9
  8. M. D. Cohen, 'Modeling of Expansive Cem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13, 1983, pp.519-528 https://doi.org/10.1016/0008-8846(83)90011-X
  9. 九山一平, マイクロメカニクスに基づくコンクリ-トの時間依存性, 東京大學學位論文. 2003
  10. 峰岸敬一 외, 熱量計におるセメントの水和機構, セラミックス, Vol.5, 1976, 11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