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Behavior Space Design - Focused on the Works of onl and NOX -

물리구축환경의 지능적 부활로서의 실시간 행태 공간의 특성 분석 - onl과 NOX의 작품을 중심으로 -

  • 이한나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 ;
  • 박현옥 (청운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Digital technology continually makes a space evolves. The real-time behavior design communicates the data with the situ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space(visitors moving, interior and exterior situations). The space form was changed because it interfaces in real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al-time behavior spac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space formative languages, sensorium, S-R and material. This study will be the one of basic references for the digital space design. The boundary of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works of digital space designer who applies the real-time exchanging data to their design among the digital space design works from 1996 to 2004. But it excepted from the real-time behavior space in virtual realty. Therefor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works of onl and NOX(paraSITE, Trans-port 2001, Muscle, MotormeCCa, Handdrawspace, Saltwater Pavilion, Son-O-House, H2O Expo). The method was the contents analysis of space formative languages(Greg Lynn's ten space formative languages; bleb, blob, branch, flower, fold, lattice, teeth, shred, skins and strand), sensorium, S-R and materi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organizational elements; Space formative languages(bleb, blob, fold, shred, skins, strand), stimulation(Human Participation, Human Moving, Weather Conditions), and response(Spatial Moving, Sound Pattern, Lighting Pattern, color Pattern, Activating Particles, Moving Picture, Virtual Friend) 2) The material Use; Sound, lights, and network have been used in the space. Immaterial matter will be used the main material of space design in 21"'century, 3)The spatial types; formal changing of space, projecting immaterial elements, and changing the sound.

Keywords

References

  1. 양재수.전호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전자신문사,2004
  2. Kas Oosterhuis, Architecture Goes Wild, 010 Publishers, 2002
  3. 김주미, 공간디자인의 인지생태론적 요인과 비선형 구조, 홍대 박사논문, 2004.6
  4. 변재형, 증강현실을 활용한 사용자 참여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6호, 2003.2
  5. 안신욱.박혜경, 사용자 모션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3호 통권44 호, 2004.6
  6. 오진국, 현대건축의 메타언어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홍대 석사논문, 2004.2
  7. 이철재, 기하학과 비선형 공간 형태의 상관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1호 통권48호, 2005.2
  8. 이철재, 디지털리즘의 인식론적 공간 구성 해석, 홍익대박사논문, 2003.12
  9. 이철재, 공간 재구성을 위한 Digital Synectics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1호, 2003.12
  10. 이철재. 임종엽, 디지털 건축의 형태분석에 의한 공간 유형연구(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5호, 2000.12
  11. 이한나.박현옥, 그레그 린의 디지털 건축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 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제4권 1호, 통권5호, 2004.8
  12. 이한나.박현옥.이종숙, 그레그 린의 자연기반 디지털 공간디자인 매트 릭스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1호, 통권48호, 2005.2
  13. 최남희,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활용한 물리공간과 전자공간 간의 연계구도와 어플리케이션 체계에 대한 연구, Telcommunications Review, 13권 1호, 2003.2
  14. 허세연, CHORA의 경계적 신체(Liminal Bodies)에서 나타나는 탈영역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5.2
  15. 황용섭, 유형학적 접근에 의한 디지털 주도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4호 통권45호, 2004.8
  16. onl architect, 공간, vol.445, 2004.12
  17. www.oosterhuis.nl
  18. www.noxarch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