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of Cyber Crimes Among Nations - Focusing on the Global Governance -

국가간 사이버범죄 대응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거버넌스적 측면에서 -

  • 오태곤 (전남도립남도대학 경찰행정경호과)
  • Published : 2005.07.10

Abstract

Cyber crimes caused unpredictable damages by influencing targets with means such as hacking and virus in virtual space. In specific, they transcend time and space because of their anonymity and it is difficult to punish the people who are involved in crimes. To manage such cyber crimes, we need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s beyond difference in legal systems between countries and 'Global Governance' was prepared as a reasonable alternative. These days, governance has been presented as an important concept to explain changed social systems or changed roles of government. It was not just a concept to replace traditional government of a single nation, but to overcome new problems on social actions of humans. So it is expected that it can help prepare reasonable measures through cooperation both in individuals and systems, and public and civil sectors. To countermeasure cyber crimes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 we can prepare general investigation systems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rough civil and public assistance, and provide a base on which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s can be established.

사이버범죄는 가상공간에서 해킹, 바이러스 등과 같은 수단으로 목적물에 영향을 주어 예측 불가능의 피해를 초래한다. 특히 익명성을 담보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관련자의 처벌도 어렵다. 이러한 사이버 범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 간의 법 제도의 상이성을 초월한 국제적인 형태의 공조체제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이 '글로벌 거버넌스'이다. 이는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거버넌스가 사회체제나 정부의 역할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개념으로 등장하여, 단순히 일개 국가의 전통적 통치행위를 대체하기 위한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행위 전반에 걸친 새로운 문제해결을 위한 인식체계로 자리 잡은 것처럼 사이버범죄에 대해 개인과 제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전범위적인 협조와 지속적 노력을 통해 합리적 해결책을 도출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거버넌스 측면의 사이버범죄 대응은 개별 국가 내의 민관 협조의 종합적 수사체제의 마련과 전문인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국가간에 국제적인 공조체제를 구축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