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the Fishery Barge Type Offshore Structure for Fitting Radar Reflector

레이더 리프렉터 장착을 위한 어업용 바지선의 동적 응답해석에 관한 연구

  • Park Sung-Hyeon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Jeong Jung-Sik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박성현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정중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o install a radar reflector on small ships, such as a small fishing vessel, a fishery buoy, and a barge ship for fishery,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the optimal system which may determine a proper installation location. For this,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how waves have an effect on the small ships should be accurately analyz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ynamic behaviors of small ships, which may be caused by irregular waves. To do this, we investigate how a barge ship responses to wavelength, water depth, and directions of incoming waves. The analyzed results shall be utilized to evaluate an effect on a radar cross section when we install an radar reflector on a barge ship for fishery and a small ship.

레이더 리프렉터를 소형어선, 어망 부이, 어업용 바지선 등에 장착할 경우 최적설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최적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단계로써 소형어선, 어망 부이, 어업용 바지선 등이 파랑에 의하여 어떠한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해양 부유체식 어업용 바지선 구조물을 대상으로 파랑에 의한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어업용 바지선 구조물의 파랑 중 응답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종 영향인자, 즉 파의 길이, 수심, 입사하는 파의 방향 등이 바지선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이러한 응답 특성을 토대로 어업용 레이더 리프렉터를 바지선이나 소형 선박에 설치하였을 경우 파랑에 의한 영향이 레이더 반사 면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우숙, 안영섭, 임정빈, 김인현, 박성현(2003), "어업용 레이더 리프렉터 개발", 해양수산부 수산특정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pp90-100.
  2. 박성현, 박석주 (2001), "Mega-Float의 동적 특성해석", 한국항해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66-70.
  3. 정중식, 김우숙, 안영섭, 박성현 (2002b), "형상을 통한 수동형 레이더 리프렉터의 RCS 증대방법 연구," 한국항해 항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61-176
  4. 정중식, 김우숙, 안영섭, 임정빈, 박성현 (2003a), "Development of passive-type radar reflector for fisheries,"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35-139
  5. 해양수산부(2002), 해양수산통계연보
  6. 해양안전심판원(2003), 제18차 해양사고방지세미나 자료집
  7. 永田修一, 吉田尚史, 一色浩, 大川豊(1997), 超大型弾性平板浮体の波浪中挙動解析, 日本造船學論文集, 第182号, pp285-294.
  8. Briggs J. N.(2002), "Specifications for Reflectors and Radar Target Enhancers to Aid Detection of Small Marine Radar Targets," The Journal of Nav., vol 55, pp.22-38
  9. Garrison , C. J. (1978), "Hydrodynamic Loading of Large Offshore Structures: Three-Dimensional Source Distribution Methods," Numerical Methods in Offshore Engineering, Chapter 3, pp87-111.
  10. Park, S. H., & Park, S. C.(2001), "Wave Response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 of Mega-Float," KIN-CIN Joint Symposium 2001, pp153-168.
  11. Petyt, Maurice(1990), "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 Vibration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41-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