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파검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과학영재 판별 지수(G-Index) 개발과 적용

New index for the gifted students(G-Index) with EEG analysis

  • 발행 : 2005.03.31

초록

과학영재 판별의 대안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찾아보기 위하여 영재 집단과 일반 집단의 뇌파검사를 실시하였다. 뇌파의 주성분 공간분석법인 PCA분석 자료의 집단별 차이점을 이용하여 과학영재 판별지수(Gifted Index: G-Index)를 개발하고 과학영재 판별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보았더니 76% 수준에서의 판별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과학영재 판별이 가능한 기타 판별도구 성취도들 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는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한 영재 판별 확률식을 제안하면 $$P=\frac 1{1+e^{-[-0.018(TTCT)+0.057(IQ)+1.916(FASP)+0.682(V.T)+0.088(Exp.)+0.034(G-Index)-57.510]}}$$와 같고 이 회귀분석식을 적용한 결과 영재 집단 내에서의 판별 가능성이 95% 수준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과학영재 판별의 대안적 도구로서의 뇌파검사와 G-Index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dequacy of tools for distinction gifted students through the comparison these mutual relation on the basis of data, like paper test, the depths interview score, and the rest data((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IQ test, FASP: Find A Shape Puzzle, V.T: Visualization Tests and Exp: experimental ability test), and analysis data of EEG test for examining the adequacy of tools for identification gifted students. So, we developed Brain Wave gifted Index(G-Index) for finding another distinction ability as using brain waves data. The standard of index development use gifted brain characteristic in closed-eyes rest state which is judged like that characteristic of distinction between gifted and normal students is the most clear and consistence. That is, the degree of unified pattern between each object and gifted PCA pattern was defined by Pearson method which added spatial mutual index to weight concept. This refer to mean number of spatial PCA pattern.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distinction gifted gave distinction effect in 76%.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mutual relation between the rest data is . The probability formula for distinct gifted group is as follow. $$P=\frac 1{1+e^{-[-0.018(TTCT)+0.057(IQ)+1.916(FASP)+0.682(V.T)+0.088(Exp.)+0.034(G-Index)-57.510]}}$$ The result of this calculation showed that probability for distinct in gifted group was very good(95.0%). On the basis of upper result, tools for identification gifted students should be estimated as using many-sided estimation data whatever possible. And following study abou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ools for distinction suitable to gifted student in science should be progre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1991). 두뇌의 기능 분화에 따른 교수 전략이 창의력 및 자연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권용주(1998). 청소년들에게서 전두연합령은 어떻게 과학적 추론 및 과학개념 변화의 수행을 매개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427-442
  3. 김용진, 김학현, 박재근, 채희경, 박미아, 강경미, 조선희, 민윤기, 장남기(2000). 문제풀이 활동에서 뇌파 측정에 의한 두뇌 기능 상태의 평가.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3), 291-301
  4. 김진희(1994). 영재 판별 평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경희(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기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종석, 박원선, 박종욱(2000).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4(2). 157-165
  7.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 탐구 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8. 이재신(1996). 초중등학교 영재 판별체제 구안을 위한 기초적 연구. 영재교육연구 제 6집. 13-29
  9. 이태리, 정병훈(1999). 청주교대 과학영재센터의 초등학교 과학영재아 선발을 위한 실기 능력 평가 연구. 한국영재학회지. 9(2), 103-130
  10. 전영석, 신영준, 손정우, 배병일, 동효관, 김규상, 신희관, 홍달식(2001). 한성과학고등학교 중학생 영재 학급의 학생 선발 과정과 결과 분석. 한국영재학회지. 11(2). 71-83
  11. Feldhusen, J. F.(1992)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Gifted Child Quarterly, 36, 123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301
  12.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304
  13. Guay, R., McDaniel, E., & Angelo, S.(1978). Analytical factor confounding spatial ability measurement.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Ontario, Canada
  14. Laxtha(2002). Complexity (Model: Complexity ver. 2.0) User Manual, Laxtha,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