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er Environmental Evaluation of Water and Sediment Quality in the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남해 및 동중국해의 하계 수질 및 저질 환경평가

  • 이대인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조현서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윤양호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최영찬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
  • 이정훈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5.05.25

Abstract

To evaluate environmental charateristics of the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on summer, water and sediment quality were measured in June 2001-2003. Surface layer was affceted by Warm water originated from the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Tsushima Warm Current, on the other hand, Yellow Sea Cold Water was spread to the bottom layer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Jeju island, and salinity at stations near the Yangtze River was decreased below 29psu because of a enormous freshwater discharges. Thermocline-depth was formed at about 10m, and chlorophyll maximum layer was existed in and below the thermocline. COD(Chemical Oxygen Demand), TN(Total Nitrogen), and TP(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s showed seawater quality grade II in surface layer of the most area, but concentrations of such as COD, Chl. a, TSS(Total Suspended Solid), and nutrients were greatly increased in the effect area of Yangtze River discharges. Correlations betwee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Chl. a and salinity were negative patterns strongly, in contrast, those of inorganic phosphorus, COD and Chl. a were positive, which indicates that phytoplankton biomass and phosphoru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organic matter distribution and algal growth, respectively. in the study area. The distribution of ignition loss, COD, and $H_2S$ of surface sediment were in the ranges of 2.61-8.81%, $0.64-11.86mgO_2/g-dry$, and ND-0.25 mgS/g-dry, respectively,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i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Therefore, to effective and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of this area, continuous monitoring and countermeasures about major input sources to the water and sediment, and predic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are necessary.

본 연구는 남해 근해 및 동중국해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2001-2003년 6월에 수질과 저질환경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해역 상층의 수괴는 북상하는 고온 고염의 쿠로시오 난류기원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25 m 및 50 m층은 황해냉수의 영향을 받는 저온수가 동남향으로 확장하였고, 그리고 양자강 하구역에 인접한 정점들의 표층에서는 29.0 psu이하의 낮은 염분분포를 보였다. 수온약층은 대략 10 m층에서 형성되었고, 양자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얕아지고, 멀어질수록 깊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와 TN(총질소) 및 TP(총인)는 대부분 해역의 표층에서 해역환경기준 II등급이하를 나타내었으나, 양자강 하구역에 근접한 정점들에서는 TSS(총부유물질)농도가 급증하였고, COD근 해역환경기준 III등급을 초과하였을 뿐만아니라 영양염류도 적조발생 가능농도를 초과하는 분포를 보였다. Redfield ratio(무기질소대 무기인 비)는 2002년과 2003년에는 전 수층 평균값이 대부분 16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육상쪽으로 갈수록 16이상의 값을 보였다. Chl. a는 상층에서 양자강 영향지역과 남해 근해에서 상대적 고농도를, 대만난류해역에서 저농도를 보여주었고, 클로로필농도 극대층은 대략 수온과 밀도 약층 수심이나 그 하부에서 형성되었다. 대상해역으로의 영양염류 공급기구는 양자강을 포함한 담수에 의한 공급이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층의 염분과 Chl. a는 매우 뚜렷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 어서 높은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은 영양염류의 공급과정과 직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러한 Chl. a는 무기질소에 비해서 무기인과 상관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해역의 유기물질 분포에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자생적인 기여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퇴적물은 공간적으로 다소 불규칙한 변동이 있지만, 저질조성과 관련해서 양자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오염도가 낮고, 조사해역의 동쪽부분에서 유기오염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지만, 그 오염도는 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대상해역에 있어서 산샤댐 건설과 관련된 양자강 유량의 변화, 그리고 어업활동과 관련된 폐기물에 의한 해양환경의 영향평가 및 대책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