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Prevention on East Side of Korea Fishing

동해안 연근해 어업의 산재현황과 예방대책

  • Song, Jae-Se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Kwandong University) ;
  • Choi, Hong-Soon (Institute of Industrial Environmental Health, Kwandong University) ;
  • Seo, Jong-Chul (Institute of Industrial Environmental Health, Kwandong University) ;
  • Kwak, Youn-Hee (Institute of Industrial Environmental Health, Kwandong University) ;
  • Park, Woong-Sub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Kwandong University) ;
  • Kim, Sang-A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Kwandong University) ;
  • Yoon, Yi-Y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wandong University)
  • 송재석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보건연구센터) ;
  • 최홍순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서종철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곽연희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웅섭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보건연구센터) ;
  • 김상아 (관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윤이용 (관동대학교 SOC 공학부)
  • Published : 2005.05.25

Abstract

Fishermen have higher risk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 due to frequent machine usage and direct contact to live biological materials. Moreover, growing elderly workers makes the susceptibility to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 high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tus among fishermen.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at Jumunjin and Geojin ports which were representative port at North East side of Korea.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used to interview the fishermen from AM 6:00 to PM 11:00 and total respondent were 97 workers. The results were followed; 7 fishermen of all respondents experienced occupational injuries during their work, 5 fishermen were needed to admission longer than 4 days. The injury types were contusion(4 persons), fracture(1 persons) and amputation(2 persons). The cause of injury might be the lack of caution and the unstability of working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e ergonomical evaluation of working condition and proper management. But there was limited concern and studies on the policy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n fishermen. So, further study was required to establish the sound policy of fisherme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어업 종사자들은 기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빈번한 기계사용과 자연이나 동식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작업 중 재해나 질병의 위험이 다른 직종에 비해서 결코 작지 않으며, 인력이 고령화되는 것은 산업안전 및 의건 분야에 있어서 질병이나 재해가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업에 대한 안전 및 보건 실태 파악과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영동지역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항인 주문진, 거진항을 중심으로 배가 들어오는 새벽 6시에서 마지막 배가 들어오는 오전 11시까지 어획한 물고기를 하역한 후 뒷정리를 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산재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는 96명이었다. 설문 결과 어업 작업 중 사고가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7명이었고 그 중에서도 4일 이상 입원하였다고 한 경우도 5명으로 5.2%였다. 부상 종류는 골절상이 1명, 손가락 절단이 2명, 타박상이 4명이었다. 부상 원인은 안전의식 부족과 작업 조건 불안정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작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해인자, 특히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대책과 평가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좀 더 규모가 큰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1차 산업에 대한 안전 및 보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며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현실적인 대책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