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Method to Activate Transit Use for High Urban-Density Muti-Nucleated Seoul

고밀다핵도시 서울의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역 중심 개발 유도방안 연구

  • 임희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계획설계연구부)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ransit-Oriented Development Model, which is recently proposed to activate transit use, is suitable for solving environmental erosion problems of sprawl cities with low urban density. Accordingly this model is inadequate to apply to Muti-Nucleated City with high urban density like Seoul.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proposes ways to effectively implement changes from automobile-oriented Seoul to transit-oriented ci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rban design policy of Station Impact Zone (SIZ) of Seoul an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Policy of Singapore and Tokyo. First,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job-oriented SIZ and the neighborhood-oriented SIZ should be made separately. In addition, the job-oriented SIZ should be designated as 'Strategic Centers' in Seoul Comprehensive Plan in order to make Transit-Oriented Centers. Lastly, the SIZ should be designated as 'the Empowerment Zones' in order to make the blighted areas around stations viable for redevelopment and new incentive system should be applied to activate setting up transit-transfer facilities.

최근 제시되고 있는 역 중심 개발모델은 저밀확산형 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므로, 고밀다핵도시를 지향하는 서울시에서는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역 중심 개발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중교통이용률이 높은 싱가폴 홍콩의 역 중심 개발정책을 분석하여 서울시의 역 중심 개발 유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은 고용중심 역세권과 근린중심 역세권의 역 중심 개발방안을 달리 마련해야 하며, 고용기능을 육성할 필요가 있는 역세권을 대중교통 중심의 전략 육성중심지로 지정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역 주변 낙후지역의 정비를 유도하여 복합개발 및 환승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재개발사업 추진이 가능한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하고, 환승시설 설치를 촉진할 수 있는 인센티브제도 도입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식(2001), 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간의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영국의 PPG 13과 LTP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29-52
  2. 김광식(1995), 교통에너지 효율적인 도시구조 탐색, 교통개발연구 제2권 제1호, 교통연구원
  3. 서울시(2005),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시
  4. 서울시(1997),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시
  5. 서울시(2004),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 도시환경정비사업부문, pp.43-47
  6. 송흥수. 김한수(1995).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역세권내 시설입지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0권 제4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57-74
  7. 임희지(2002), 서울시 역세권 도시조직분포유형별 역 중심 생활권형성을 위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8. 임희지(2004),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제도의 유형별 공공성증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전명진(1997),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 서울의 통근통행수단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39-49
  10. Edited by Hank Dittmar & Shelley Poticha (2004), The New Transit Town, Island Press, pp.33-39
  11. Hildebrand Frey(1999), Designing the City : Towards a More Sustainable Urban Form, EN& FN SPON, pp.37-69
  12. Kevin Lynch(1982), The Theory of Good City Form
  13. Michael Bernick & Robert Cervero(1997), Transit Villages in the 21st Century, Macgraw-Hill, pp.307-348
  14. Newman & Kenworthy(1999), Sustainability and Cities, Island Press, pp.94-103
  15. Edited by Mike Jenks & Rod Burgess (2000), Compact Cities : Sustainable Urban Form?, E& FN SPON, pp.271-284
  16. Peter Calthope(1992),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56-61
  17. Rickaby, Six Settlement Patterns Compared, Environment &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Vol. 14
  18. Robert Cervero(1998), The Transit Metropolis : A Global Inquiry, Island Press, pp.5-14
  19.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Concept Plan 2001.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20. 東京都, 弟3次東京都長期計劃, 東京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