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서울시(2004),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 도시환경정비사업부문, pp.43-47
|
2 |
Michael Bernick & Robert Cervero(1997), Transit Villages in the 21st Century, Macgraw-Hill, pp.307-348
|
3 |
서울시(2005),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시
|
4 |
김광식(1995), 교통에너지 효율적인 도시구조 탐색, 교통개발연구 제2권 제1호, 교통연구원
|
5 |
Peter Calthope(1992),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56-61
|
6 |
Kevin Lynch(1982), The Theory of Good City Form
|
7 |
Robert Cervero(1998), The Transit Metropolis : A Global Inquiry, Island Press, pp.5-14
|
8 |
서울시(1997),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시
|
9 |
Edited by Mike Jenks & Rod Burgess (2000), Compact Cities : Sustainable Urban Form?, E& FN SPON, pp.271-284
|
10 |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Concept Plan 2001.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
11 |
Hildebrand Frey(1999), Designing the City : Towards a More Sustainable Urban Form, EN& FN SPON, pp.37-69
|
12 |
전명진(1997),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 서울의 통근통행수단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39-49
과학기술학회마을
|
13 |
김광식(2001), 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간의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영국의 PPG 13과 LTP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29-52
과학기술학회마을
|
14 |
임희지(2004),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제도의 유형별 공공성증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15 |
Rickaby, Six Settlement Patterns Compared, Environment &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Vol. 14
|
16 |
Edited by Hank Dittmar & Shelley Poticha (2004), The New Transit Town, Island Press, pp.33-39
|
17 |
東京都, 弟3次東京都長期計劃, 東京都
|
18 |
송흥수. 김한수(1995).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역세권내 시설입지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0권 제4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57-74
|
19 |
Newman & Kenworthy(1999), Sustainability and Cities, Island Press, pp.94-103
|
20 |
임희지(2002), 서울시 역세권 도시조직분포유형별 역 중심 생활권형성을 위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