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n Arterial Bus Lane Operation Analysis Using the Downs-Thomson Paradox Theory

Downs-Thomson Paradox를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운행실태분석

  • 이승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류승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an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median arterial bus lanes operation. The paper includes a speed analysis based on the Downs-Thomson Paradox theory, and a reliability analysis based on variance analysis of arrival time. According to the speed analysis, some road sections are now under phase 2 according to the Downs-Thomson Paradox, which is a state in which the bus speeds are greater than the car speeds. In the future it is predicted that cars and buses will reach an equilibrium speed which is in phase 3 of the multi-modal equilibrium theory.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analysis of arrival time at each bus stop, in roads of median arterial bus lanes. the variance of arrival time is generally smaller than after the scheme implemented in eight months later.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의 도입효과를 시행전과 시행후를 분석하기 위하여 BMS데이터인 속도데이터와 버스 도착시간데이터를 통하여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속도 분석시 Downs-Thomson Paradox 이론을 적용하여 단순비교가 아닌 보다 합리적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버스도착시간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류장별 도착시간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속도 분석 결과 강남대로와 도봉 미아로의 경우 수단간균형 이론에서 버스우선정책인후에 나타나는 버스속도가 승용차 속도보다 높은 현상이 나타났으며 향후 수단간균형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수색 성산로의 경우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효과가 다른 도로에 비하여 미비하게 나타났고 또한 9월4주째에는 승용차와 버스의 속도가 같아지다가 다시 승용차의 속도가 버스의 속도보다 높아지는 Rebound effect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10월1주후부터는 대중교통 우선정책 시행후의 현상인 버스속도가 승용차 속도보다 높은 현상이 나타났다. 정류장별 도착시간 신뢰성 분석결과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경우 전체적으로 8월에 비해 12월달의 도착시간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색로의 경우 7:30분대에는 오히려 나빠졌으며 전체 도착시간 분산이 90이상 나타났기 때문에 정시성이 좋아졌다고 볼 수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균(2005), '중앙버스전용차로제의 합리적인 추진방향', 교통기술과 정책, 제2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25-139
  2. 노승일. 정광복(2004).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시행효과 분석', 교통기술과 정책, 제1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21-133
  3. 이승재. 정일호. 류승규. 권혁(2004), '수도권 통행패턴 변화분석을 통한 교통정책 방향 도출연구', 국토연구원
  4. 임강원. 임용택.(2003), '교통망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p.233-273
  5. 서울시(2004),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 교통상황 모니터링 결과'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버스체계개편에 따른 버스운행실태 및 서비스수준 분석'
  7. Cairns, S. Hass-Klau C. and Goodwin P.B. (2002) 'Disappearing traffic? the story so far', Municipal Engineer 151
  8. Downs, A.(1962) 'The law of peak-hour expressway congestion', Traffic Quarterly, 16, pp.393 -409
  9. Mogridge, M.J.H.(1983) 'The car market', Pion, London
  10. Mogridge, M.J.H.(1995), 'Modal equilibrium in congested urban networks', Working Paper, VCL
  11. Thomson, J.M(1977). 'Great Cities and their Traffic', Gollancz: London
  12.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003),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Web Document No. 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13. Bell, M.G.H. and Y.Iida.(1997), 'T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Wiley, pp.1-16
  14. Ortuzar, J.D. and Willumsen, L.G.(2001) 'Modelling Transport', Wiley, pp.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