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Traditional Living Space Based on Family System In Korea, China and Japen

${\cdot}$${\cdot}$일 가족관계에 따른 전통주거공간 비교연구

  • Kim Do-Yeon (Division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hee University) ;
  • Oh He-Kyung (Division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hee University)
  • 김도연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 ;
  • 오혜경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share similar social structure,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family relation in the three countries.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residences, which are similar to one another in terns of time, class and economy and analyzed them using their floor plans and photograph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Knrea, China and Japan, all of which have family-centered social structure, separate their residential space from the external society and particularly women's space is placed inside men's space or in a secluded area.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space in Korea is the division of living spare between men and women. Space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of families. In this way, the position or order of family members is reflected in the use of space. Characteristically in China based on the large-family system each family is given a space for independent life. Particularly as the relation among brothers is emphasized, space is allocated equally to all brothers but the status of a space is determined by the order of the residents. Residential space in Japan is organized to emphasize the absolute authority and status of the head of the family. As the space is planned focused on the family head's daily life and guest reception, the relation among other family members is ignored. That is, Japanese residence is a social space for the family head's guest reception, Chinese residence is a family-centered space rather than a social space, and Korean residence accommodates both space for family life and social space.

Keywords

References

  1. 강인호 . 한필원(2000). 주거의 문화적 의미. 세진사
  2. 권영걸(2001). 한 . 중 . 일 전통공간의 조형정신과 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광언(1989). 조선조의 주거풍속. 대한건축학회지 33(2), 36-39
  4. 김광석 . 박명침(1997). 한중일 문화적 특성과 가치관 비교. 부산발전 연구소
  5. 김광석(1997). 한 . 중 . 일 문화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아시아연구, 5, 215-236
  6. 김미경(2002). 일본의 집과 마을의 민속학. 민속원
  7. 김미나(2003). 한 . 중 . 일의 경계의식에 따른 주거공간의 경계구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
  8. 김미나(2003). 근세 한 . 중 . 일 상류주거의 경계의식에 의한 공간구성비교.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용운(1994). 한국문화와 일본문화. 철학과 현실, 21, 84-99
  10. 김홍석(1997). 한 . 중 . 일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비교분석. 아시아연구, 5, 215-236
  11. 김홍식(2001). 한 . 중 . 일 민가 계획론에 대한 비교 연구. 동아시아 주거문화 국제 심포지움, 17-35
  12. 문옥표(2001).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 백산서당
  13. 박부진(1997). 거주공간의 이용관행과 가족관계. 성, 가족, 그리고 문화, 집문당, 133-161
  14. 박부진(1998). 가족의 위계구조와 공간이용. 가족과 문화, 10(2), 17-40
  15. 박선희(1994). 전통적 주거에서의 공간사용과 구성에 대한 한일간의 비교(1). 건축역사학회, 3(2), 111-123
  16. 박선희 . 윤복자(1992). 전통적 주거에서의 접객생활에 대한 한일간의 비교. 동방학지, 7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53-280
  17. 박전영 외(2000). 일본의 문화와 예술. 한누리미디어
  18. 박정의 편저(2001). 일본의 생활과 문화. J&C
  19. 박영순외 7인(1998). 우리옛집이야기. 열화당
  20. 손세관(1998). 중국 전통주택의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학회, 15, 113-126
  21. 손세관(2001).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22. 손세관(2001).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23. 신영훈(2000). 한옥의 조형의식. 대원사
  24. 오옥재외 3인(2003). 국내 특급호텔 한중일 식음공간디자인의 문화적 특성연구.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5), 82-86
  25. 윤장섭(1999). 중국의 건축.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윤장섭(2000). 일본의 건축. 서울대학교 출판부
  27. 이광규(1983). 한국 가족제도. 한국문화인류학, 15, 11-24
  28. 이광규(1971). 한국의 사회구조와 문화유형. 한국문화인류학, 4, 5-14
  29. 이광규(1987). 문화와 의식구조. 전통문화
  30. 이광규(1994).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통권, 17, 5-11
  31. 이광규(1993). 직계와 견제의 가족제도. 철학과 현실, 19, 33-41
  32. 이광규(1985). 중국친족제도연구서설. 한국문화인류학, 11, 247-264
  33. 이경희(1993). 여성이 경험하는 주거환경에 관한 이해. 가정문화논집, 7, 21-31
  34. 이왕직 . 이상해(2002). 일본주택화실의 형성과정과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1), 133-140
  35. 이원식(2003). 생활행위별 한 . 중 . 일 전통주거의 공간이용 특성에 따른 비교문화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원식 . 이연숙(2002). 가족제도관점에서 본 한중일 전통주거공간의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485-488
  37. 이진원(2004). 일본의 가부장적 절서와 통치구조. 한중일 3국 가족의 의사소통 구조비교. 이학사
  38. 임덕경(1991). 한 . 중 . 일 삼국의 지리와 생활문화의 비교. 정신문화연구, 14(1), 57-73
  39. 중국건축사편집위원(1990). 중국건축개설. 태림문화사
  40. 조혜정(1997). 한국의 가부장제에 관한 해석적 분석. 성, 가족, 그리고 문화. 집문당, 9-71
  41. 최재석(1964). 한 . 중 . 일 동양 삼국의 동족비교. 한국사회학 1(1), 88-99
  42. 최재석(1965). 한 . 중 . 일 삼국가족의 통계적 비교. 아세아연구 통권, 18, 457-46
  43. 최재석(1964). 한국가족의 전통적 가치의식. 아세아연구 통권 14, 19-40
  44. 한필원(1997). 중국북경사합원의 공간구성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11), 193-202
  45. 노버트 쉐나이어 著, 김연홍 譯(2004). 집-6,000년 인류주거의 역사. 다우
  46. 西和夫 著, 이무희 . 진경돈 譯(1983). 일본건축사. 세진사
  47. 太田博太朗 著, 박언곤 譯(1994). 일본 건축사. 발언
  48. 이윤화 著, 이상해 外 譯(2000). 중국고전건축의 원리. 시공사
  49. Andrew Boyd 著, 이왕기 譯(1987). 중국의 건축과 도시. 기문당
  50. 형기민(荊其敏) 著, 한동수 譯(1994). 중국전통민가. 발언
  51. 유돈정 著, 한동수 外 譯(1995).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52. 스즈끼 시게부미 著, 이현희 譯, (1999). 현대일본주거읽기. 도서출판국제
  53. 王其明 外 1人(1996). 北京四合院, 中國建築工業出版社
  54. 馬炳堅(1993). 北京四合院, 北京美朮攝影出版社
  55. 馬炳堅(1993). 北京四合院建築, 天津大學出版社
  56. 王其鈞(2002). 老房子-北京四合院, 江蘇美術出版社
  57. 藤田勝也(2002), 日本建築史, 昭和堂
  58. Edward S. Morse(1984). Japanese homes and their surroundings, C. E. Tuttle Co
  59. Hsu, Francis L. K.(1971). Kinship and culture, Chicago, Al-dine Publ
  60. Kishida, Hideto(1940). Japanese architecture, Board of Tourist In
  61. Duncan, James S. eds.(1982). Housing and identity. New York: Holmes and Meier Publisher
  62. http://inthewind.cool.ne.jp/minka.htm#minka
  63. http://hagi.jp/~y-kaji/cultural_assets/index.html
  64. http://www.hyakumangoku.net/guide/s-nagamachi/nomura.htm
  65. http://www.enasan-net.ne.jp/rekishi/nakasendo/02/p12-16.html
  66. http://www.mu-cci.or.jp/kanko/buke.html
  67. http://www5.big.or.jp/~ejiri/nakasen/exp/vk06/16goryoc.htm
  68. http://www.kayabukiyane.com/list.html
  69. http://members.at.infoseek.co.jp/Yosidon/hagi4.htm
  70. http://www.inet-shibata.or.jp/~oa/kdatal.htm
  71. http://bunkazai.ysn21.jp/tusi/bunkahonbun.htm
  72. www.culture-arts.go.kr
  73. http://www.history.co.kr/Acade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