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품질등급제에 대한 도계장 관리자 설문 조사

Survey of Manager's Perception of Slaughter House for Poultry Grading

  • Chae H.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Yoo Y. M.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Ahn C. 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Ham J.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Jeong S. G.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J. M.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oi Y. I. (Dep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본 연구는 닭고기의 품질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시중 도계장을 대, 중, 소로 구분하여 생산 관리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닭고기 등급제 적용에 따른 도계장 및 유통업소 및 판매장 조사를 통하여 등급 판정 방법, 표본 수 선발 방법 등을 설정하여 설문지에 의한 방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도계장 설문 조사에서 등급제 적용시 적용 단위는 대부분의 도계장에서 농가단위 보다는 롯트 단위를 선호하였다. 닭고기 등급제 조사방법은 대부분의 도계장에서 전수 조사보다는 샘플 조사를 선호하였다. 닭고기 등급제 시행 초기에는 도계장에서 요청한 물량에 대해서만 등급 판정을 실시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통닭뿐만 아니라 부분육에 대해서도 등급제를 적용해야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닭고기 등급제 적용시의 중량의 범위는 대규모 도계장에서는 $8\~12$호에 대해서 등급 판정을 선호하였다. 도계조건에서 실신 시 전압은 대규모의 경우 81V이상의 전압을 주로 사용하였고, 냉각조는 대규모 도계장 일부를 제외하고는 침수식을 사용하였다. 대규모 도계장에서는 닭고기 출하 시 개체 및 박스 포장을 같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도계장은 박스 포장만 사용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grading guideline for poultry. Guidelines for sampling size and grading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urvey data obtained from chicken processing hou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or application unit, most chicken processing house preferred lot unit to farm unit. Most processing house did not want the total survey method, but selection sampling. At the beginning of the grading system, chicken processing house wanted to apply the system to a particular lots for which the company requests. There were much suggestions for grading not only portion meat, but also whole chicken. Bigger processing house preferred no. $8\~12$ to be graded. Most of large-scale processing houses used more than 81 volts for stunning and cooling tanks by soaking. For shipping chicken, Large-scale processing houses used both individual and box packing while small ones only used box pac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UK MAFF 1999 Enforcement guide to EC poultryment marketing standards regulations
  2. USDA 1998 United States Classes, Standards, and Grades for Poultry
  3. 日本 農林水産城 1993 食鶏 取引規格 制3章 生鮮品
  4. 농림부고시 2003 축산물 등급판정 세부기준. 2003-14호, 계 육등급판정 기준편
  5. 농림부고시 1998 HACCP(뻐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축산물가공처 리법 제9조 축산물가공처 리법시행 규칙 제7조
  6. 농림부 축산국 2002 축산통계 자료 축산물 유통 소비 편
  7. 한국산업규격(KS규격) 1994 통닭 및 부분육. 1-6
  8.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2004 통계자료실 수입 현황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