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시간성 표현을 위한 기호학적 모델의 제언 -들뢰즈 "운동-이미지"의 기호화 과정을 중심으로-

Semiotic Approach to the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in Cinema

  • 김병선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발행 : 2004.08.15

초록

이 논문은 영화에서의 시간성 표현 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연구자는 영화의 시간성 표현과 관련된 기존 서사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들뢰즈(Gille Deleuze) 영화 철학(philosophy of cinema)의 적절성을 논의했다. 들뢰즈 영화 철학은 퍼스(Charles S. Peirce)의 삼원론적 기호학을 영화에 가장 잘 적용시킨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연구자는 우선 영화를 구성하는 기호학적 최소 단위로서의 "운동아미지" 개념을 논의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고전적 서사 영화(classic narrative cinema)와 현대 영화(modern cinema)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시간성 표현의 기호화 과정을 비교했다. 즉, 고전적 서사 영화에서는 "정상적인 운동이미지"가 "간접적 시간 표현"과 "이야기-서사"라는 해석체를 구성하는 기호화 과정을 거치는 반면, 현대 영화에서는 "비정상적 운동이미지"가 "직접적시간 표현"과 "시간-이미지"라는 해석차를 구성하는 또 다른 기호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았다. 현대 영화의 기호학 과정에서 출현하고 있는 이와 같은 "시간-이미지"는 영화와 현실 사이에 놓여진 "시간"이라는 철학적 대상을 통찰하게 만들고 기존의 가치관과 이데올로기의 상투성을 극복할 수 있게 만든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정상적인 운동이미지"룰 만들어 내는 현대적 영상 제작 작업은 단지 특이하고 새로운 영화적 표현을 구성하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주요한 사유의 대상으로 취하고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하게 만드는 보다 근원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is paper proposed semiotic model to explain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in cinema. Limitations of cinematic narratology which explain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in cinema were indicated, then alternative explanations of Deleuzian philosophy of cinema were proposed. After discussion about articulations of cinematic code, Deleuzian concept of movement-image was suggested as semiotic minimal unit of cinema. In cinema, Movement-image is divided two different aspects ; "normal movement-image" and "abnormal movement-image". Therefore, two different semiotic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was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Peircean semiosis theory. In this two different semiotic process, modern cinema emphasize the direct representation process of time with "abnormal movement-image". As Deleuze indicated, The "time-image" is presented in this semiotic process. The "time-image" makes it possible to consider "time itself" as philosophical fact which is laid between reality and cinema, This semiotic process more emphasizes pure expressionality than representationality. Deleuzian philosophical journey through cinema was started in this poi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