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residual drugs (tetracyclines, ${\beta}$-lactams, chloramphenicol, sulfonamides) on beef and pork carcass at abattoir in Seoul

서울 시내 도축장의 소${\cdot}$돼지 지육에 대한 잔류물질 (tetracyclines, ${\beta}$-lactams, chloramphenicol, sulfonamides) 함량 조사

  • Kim Doo-Hwan (Seoul Metropolitan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Jae-Shin (Seoul Metropolitan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Ham Hee-Jin (Seoul Metropolitan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i No-Joon (Seoul Metropolitan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Jung-Hark (Seoul Metropolitan Health &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김두환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이재신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함희진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기노준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이정학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I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sidual materials by EEC 4-plate, Charm II and HPLC method in the muscles of cattle and pigs from slaughter-houses in Seoul from 2000 to 2003. Residual materials were detected from $1.10\%$(73/6,623) samples by EEC 4-plate method, and $10.93\%$(55/503) samples by Charm II method. The highest residual concentration(ppm) of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chlortetracycline, sulfamethazine, sulfamerazine, sulfadimethoxine, penicillin and sulfamonomethoxine were 25.5, 3.46, 3.26, 1.5, 0.3, 0.2, 0.2, 0.14, and 0.07, respectively. Eighty nine samples were classified as 58($65.17\%$) only tetracyclines, 20($22.47\%$) only sulfonamides, 3($3.37\%$) only ${\beta}$-lactams, 2($2.25\%$) only chloramphenicol, 4($4.49\%$) tetracyclines and sulfonamides simultaneously, 1($1.12\%$) chloramphenicol and sulfonamides simultaneously, and 1($1.12\%$) chloramphenicol, sulfonamides and tetracyclines simultaneously.

Keywords

References

  1. 농림부고시. 2003. 축산물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 농림부고시 제2003-3호
  2. 농림부고시. 2003. 식육 중 잔류물질 검사요령 및 식육 중 미생물 검사 요령. 농림부고시 제2003-27호
  3. 식약청고시. 2002.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 의약품 안전청 고시 제2002-22호
  4. 검역원고시. 2002. 동물용 의약품의 안전 사용 기준. 국립 수의과학 검역원 고시 제2002-12호
  5. 검역원고시. 2002. 축산물 가공 기준 및 성분 규격. 국립 수의과학 검역원 고시 제 2002-3호
  6. 식품공전. 2002. 제7. 일반 시험법 15. 축산식품 중의 잔류물질 시험법. 한국 식품 공업 협회, 문영사:908-950
  7. 박종명, 이광직, 조태행 등. 1991. 국내산 우육, 도육 및 계육 중의 항생물질 잔류조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5(3) : 287-291
  8. 김보숙, 김현정, 김기근 등. 1997. 도축우의 혈청 및 근육 내 tetracycline 잔류조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보 33 : 363-368
  9. 백미순, 이영철, 이해영 등. 1998. 절박도축우의 항생제 및 설파제 잔류조사. 한가위지 21(1) : 13-20
  10. Wilson DJ, Frante CE, Norman BB. 1991. Antibiotic and sulfonamide agent in calf muscle, liver and kidney. Am J Vet Res 52(8) : 1383-1387
  11. 박재명, 최해연, 이은정 등. 1997. 식육 중 테트라 사이클린계 항생물질 잔류조사. 한가위지 20(2) : 225-233
  12. 황래홍, 김영수, 윤은선 등. 1995. HPLC를 이용한 축산식품 중 잔류 설폰 아미드제의 동시분석법연구. 한가위지 19(1) : 13-28
  13. 황래홍, 윤은선, 김현정 등. 1999. HPLC를 이용한 축산물 중 잔류 페니실린 및 클로람페니콜 동시분석연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 연구원보 35 : 452-458
  14. 이원창, 김종배, 이치호 등. 1994. 수입 축산물로부터의 잔류 항생물질 검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 수의 공중 보건 학회지 18(2) : 155-160
  15. 조태행, 이광직, 진남섭 등. 1993.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의 분석방법 개발 및 잔류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7(3) : 321-328
  16. 허부홍, 전창원, 안병목 등. 1992. 소 및 돼지의 정육과 내부 장기 중의 항생물질 잔류조사. 한가위지 15(2) : 9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