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도시·농촌지역 고령자의 건강검진 수진행동에 관련된 요인

The Associated Factors of Health Examinations Behaviors among Some Elderly Persons in Urban and Rural Areas

  • 김용익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Kim, Yong-Ik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Chae (Department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06.30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자들의 건강검진행동과 인구사회학적 및 일상생활습관의 여러 기본요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사회적 배경이 다른 도시와 농촌지역간의 차이 및 남녀간의 차이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층화집략무작위추출(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에 의하여 도시지역 236명, 농촌지역 228명 합계 464명을 추출하여 면접조사 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상생활승관,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의료이용상황, 청력, 시력 및 일상생활수행동작(ADL), 건강검진 수진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건강검진 수진율을 보면 도시지역은 남자가 54.5%, 여자가 46.9% 농촌지역은 남자가 59.8%, 여자가 42.7%로 도시 농촌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수진율을 보였다. 남자에서의 수진자군은 비수진자군에 비해 자택 소요군, 비흡연군, 음주 중단군, 만성질환이 있는 군, 식생활습관이 좋은 군에서 높았다. 여자에서의 수진자군은 비수진자군에 비해 저연령군, 부부동거군, 자택소유군, 식생활습관이 좋은 군, 최근 3개월간 외래진료를 받은군, 건강에 대해 불안감을 갖고 있는군, 요실금이 있는 군에서 높았다. 지역별수진자군과 비수진자군의 차이는 연령, 가족유형, 현재하고 있는 일, 가게 월수입, 주택소유상황, 음주여부, 식생활습관, 관적인 건강상태, 최근 3개월간의 외래진료 유무, 건강에 대한 불안감 유무 IADL 상태 등이 항목에서 도시 농촌지역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건강검진 수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도시지역의 경우 주택 소유여부, 단골의사 여부, 건망증 및 요실금 여부, 만성질환 유무 등이 선정되었으며 농촌지역의 경우는 단골의사 여부, 뇨실금 여부, 건강불안, 하력, 주택소유여부, 만성질환 유무 등이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령자들에서의 건강검진행동은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물론, 이들의 일상생활습관, 주관적인 건강상태, 건강검진수진상황, 신체적 건강상태 및 ADL상태 등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됨으로 향후 건강검진계획에는 이 같은 변수를 고려할 것이 요망되며, 또한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examination behaviors, sociodemographic aspects and lifestyles of elderly persons with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and compared sexual and regional differences in urban and rural elderlies. Methods: The total study subjects(464 individuals) from urban(236) and rural areas(228), recruited by a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ere interviewed and examined about their sociodemographic profiles, daily lifestyles, subjective health status, conditions concerning use of medical resources, hearing acuity, visual acuity and ADL(activity of daily living), and whether they receive health examination or not. For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was used for sexual and regional comparisons among the groups who have been given a health examination and the one who have not. Results: In urban areas, the rate of having underwent health examination was 54.5% in men and 46.9% in women, and in rural areas, it was 59.8% in men and 42.7% in women, showing its higher rate in men than in women in both areas. For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ho have taken a health examination and the one who have no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ge, family pattern, current job, monthly household income, owning a house, drinking status, eating habit, subjective health status, whether they have taken outpatient medical service for the recent 3 months or not, anxiety for the health, and IADL conditions according to whether the community is rural or urban. In multiple regression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health examination behaviors were selected such as having their own house, their family doctor, amnesia, urinary incontinence and chronic disease in urban districts. But in rural districts, the variables were selected such as having or not of their family doctor, urinary incontinence, anxiety for the health, educational level, their own house and chronic disease.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ach to the health examination of an older patient requires substantial consideration of highly variable individu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volving regional attributes as well as their daily life styles, subjective health status, status of performing health examination, physical health status and ADL condi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