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파종방법 및 파종량이 사료용 보리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Method and Seeding Rate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rage Barley

  • Kim, W.H.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Seo,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Shin, J.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im, Y.C.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Kim, K.Y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oi, K.C. (College of Animal Husbandry, Konkuk Univ.) ;
  • Kim, C.H. (Sunchon city hall)
  • 발행 : 2004.12.01

초록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품종을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생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원소재 축산연구소에서 2001년 10월부터 2003년 5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사료용 보리의 내한성, 내병성 그리고 내도복성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산파 130 kg/ha와 조파 130 kg/ha에서 각각 $32.0\%$$32.7\%$로 낮았다. 그리고 생초수량에 있어서는 조파 130kg/ha구에서 32,07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산파 130 kg/ha구에서 20,944 kg/ha으로 가장 적었다(P<0.05). 또한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조파 160과 130 kg/ha구에서 각각 9,170와 9,138kg/ha으로 가장 많았고 산파 130 kg/ha구에서 5,710 kg/ha으로 가장 적었다(P<0.05).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답리작 논에서 사료용 보리의 파종방법에 있어 조파로 할 경우 ha당 130에서 160 kg/ha와 산파로 할 경우 190에서 220 kg/ha로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d method and seeding rate on the desirabl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rage barley(Hordeum vuigare) at paddy field,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Suwon from October 2001 to May 2003.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spil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Main plots consisted of tow seed method; Broadcasting and drilling, Sub-plots consisted of seeding rates; 130. 160, 190 and 220 kg/h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ellows ; The resistance of cold, disease and lodging of barley for the seeding method and seed rate were not different. And dry matter percentage of barley for a seeding method of 130 kg/ha at the broadcasting was the lowest of $32.0\%$, and that for the drilling at 130 kg/ha was $32.7\%(P<0.05). Fresh yield of barley for a seeding method of drilling at 130 kg/ha was the highest of 32,073 kg/ha, and that for a seeding method of broadcasting at 130 kg/ha was the lowest of 20,944 kg/ha(P<0.05). Dry matter yield of barley for a seeding method of drilling at 160 and 130 kg/ha were the highest 9,170 and 9,138 kg/ha, and that fur a seeding method of broadcasting at 130 kg/ha was the lowest of 5,710 kg/ha(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appears that the seeding method and rate of barley could be enhanced by drilling from 130 to 160 kg/ha, and broadcasting from 190 to 220 kg/ha.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암, 성경일, 권찬호. 1986.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월동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3):164-168
  2.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강우성, 신정남. 1995.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건물축적 형태와 곤포 silage 조제이용. 한초지 15(3): 198-206
  3. 김원호, 서 성, 정의수, 신동은,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2.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 품종 선발. 1. 생육특성과 생초수량. 한초지. 22(3):201-208 https://doi.org/10.5333/KGFS.2002.22.3.201
  4. 박형수. 1999. 파종량 및 파종시기가 사료용 호밀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 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5. 맥류연구소. 1987. 맥류연구 성과와 새로운 방향. 신명사. pp 160
  6. 작물시험장. 2000. 보리.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7. 鎌田梲男, 懸和. 1971. 모초군락에 있어서 개체밀도가 건물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초시산지지장연구자료. No. 10
  8. Donald, C.M. 1963. Competition among crop and pasture plants. Adv. in agron. 5. N. Y. and London
  9. Schadlich, F. 1987. Effect of sowing time and sowing rate on stand development, stem stability and vield of winter rye. Field Crop Abs. 40(6):396

피인용 문헌

  1.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Varieties Grown in a Paddy Field vol.33, pp.1,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