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for Liquid Pig Slurry on Growth and Yield of Rice(Oryza sativa L.)

가축 액상분뇨의 시용방법이 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2002 on sandy loam soil under variable fertilizer management; swine slurry and chemical fertilizer.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and application method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ice were determined. The rice was plan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wine slurry on the crop growth. As slurry manure was fertilized, yield of each group of rice was decreased from 3 to $5\%$. In conclusion, basal application of slurry was maintained productivity of rice, but to improve of productivity of rice, the rice should be fertilized with the basal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and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The results indicates that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improves quality of rice rather quantity, which means grain yield. Rice quality of the slurry+chemical and the slurry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chemical fertilizer. That indicates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could improve rice quality. Application of animal slurry seemingly has potentials for reducing pollution of animal slurry and improving environment of rural area as well as producing high-quality rice.

본 연구는 액상분뇨 시용방법의 벼의 생육특성, 수량, 수량구성 요소,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처리는 액상분뇨를 기비만 처리한 처리구, 액상분뇨를 기비로 시용하고 화학비료를 추비로 시용한 시험구, 대조구로 화학비료 시용구를 두었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초장은 생육초기 화학비료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육후기에는 초장의 차이가 처리구 간에 크지 않았다. 분얼 수의 경우도 화학비료구가 액비 시용구보다 더 많았다. 엽록소 함량은 생육초기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생육 후기에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수량구성 요소에 있어서 주당수수는 화학비료구가 가장 많은 것으론 나타났다. 수당립수는 액상분뇨 시용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천립중은 시비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숙율에 있어서는 화학비료 시용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벼의 정조수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고 액비+화학비료구에서 $3\%$ 액상분뇨 시용구에서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5\%$ 감수되었다. 4. 쌀 품질은 액상분뇨 시용구와 액비기비 +화학비료 추비구가 화학비료구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액비 시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유의성있게 낮았다. 따라서 쌀 품질 향상에 적절한 양의 액비 시용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