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2001 Land Use Distribu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based on KOMPSAT-1 EOC Imagery

KOMPSAT-1 EOC 자료를 활용한 2001년도 대전시 토지이용 현황의 공간적 분포 분석

  • Received : 2004.06.22
  • Accepted : 2004.08.18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e dissemination of commercial satellite images. which have the high spatial resolution such as aerial photos, are the active trend in remote sensing community because of the recent development in satellite and sensor technology. Such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provide a unique tool for the monitoring of ongoing urban land use change. Especially KOMPSAT-1, which was launched at December 1999 and successfully operated up to now, provides repeatedly panchromatic images over Korean peninsula, which has the spatial resolution of 6.6m. Based upon this KOMPSAT-1 EOC image data we can try to analyze and assess the temporal urban land use change, which could not be done because lack of such dat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assess the spatial land use characteristic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based on KOMPSAT-1 EOC data. The land use map of year 2001 is generat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year 2000 land use map, which is publish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using visual interpretation of KOMPSAT-1 EOC image which is acquired in year 2001. This study can be the start poin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long term land use change monitoring mit KOMPSAT-1 EOC data.

항공사진에 육박하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공급이 최근 위성 및 센서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고해상도 위성 자료는 도시 토지이용현황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특히 1999년 12월 발사되어 2004년 8월 현재까지 성공적인 임무를 수행중인 KOMPSAT-1(KOrea Multi-Purpose SATellite) EOC(Electro-Optical Camera) 영상은 광역 도시에 대한 공간해상도 6.6m의 고해상도 영상 자료를 주기적으로 촬영, 공급하고 있어,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던 도시 토지이용현황 변화를 연도별로 추적,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대전광역시 토지이용 현황도와 2001년 KOMPSAT-1 EOC 자료를 중첩하여 육안판독에 의해 변화된 지역을 파악, 수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2001년 대전광역시 토지이용 현황도률 작성하고, 개개 항목별 토지이용 현황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축적된 위성자료를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의 시계열 분석을 위한 선행 연구를 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