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imation Module for Learning Earthquak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초등학교 과학과 지진 학습에 대한 애니메이션 모듈 개발 및 적용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earthquake education is the area that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irectly in elementary school earth science course. Therefore, I have developed an animation module to make students learn about earthquake efficiently satisfying students's interests and characteristics. I have planned to get the effective learning result by teaching 35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 developed module designed for ICT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nimation module class gives students opportunity and develop students' attitudes towards earth science.

초등학교 지구과학 학습내용에서 지진학습은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기 힘든 내용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흥미와 특성에 맞게 애니메이션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듈을 ICT 교수 ${\cdot}$ 학습전략에 맞게 ICT 활용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개발된 애니메이션 모듈은 35명의 초등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 모듈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주, 2000, 지구과학 해양분야 학습을 위한 WBI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7p
  2. 교육인적자원부, 2003,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1.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9p
  3. 김상달, 1995, 제 6차 교육과정의 공통과학 및 지구과학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 과학교육연구보, 22, 123-150
  4. 김희수, 2002,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3 (7), 531-542
  5. 방상영, 2002, 초등학교 과학과 지구영역에서 ICT 활용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2 p
  6. 손은미, 2003, 중학교 과학과 암석 분야의 ICT 활용수업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5 p
  7. 심웅기, 1998, 수업도구로서의 인터넷: 그 잠재성과 한계.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 개선 세미나 자료집, 25-42
  8. 이용섭, 1999, 자연과 화산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CAI 타이틀의 설계 및 구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p
  9. 주국영, 2001, 과학과의 수준별 WBI가 자기주도적 학습특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7 p
  10. Edwards, D.J., Bryon, D., and Sowerbutts, B., 1996, Recent advances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urseware within earth science teach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4 (3), 309-314
  11. Joseph, G.R., Martinez, P.A., and Nancy, C., 1999,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for mastery, MASlER teachers; MASlERY learning; GROUP work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 (5), 279 https://doi.org/10.1080/00220679909597607
  12. Krajcik, J., Simmons, P., and Lunetta, V., 1988, A research strategy for the dynarmic study of students' concepts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using science softwa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 (2), 147-155 https://doi.org/10.1002/tea.3660250206
  13. Smaldino, S. and Thompson, C., 1990, Infusion of science software: Applying Gagne's strategies.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9 (3),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