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wall on the Iwon Macrotidal Flat

방조제 건설 후 이원 대조차 조간대의 계절별 퇴적학적 특성 및 퇴적환경

  • Kum, Byung-Cheol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 Park, Eun-Young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 Lee, Hi-Il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 Oh, Jae-Kyung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Inha University) ;
  • Shin, Dong-Hyeok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금병철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
  • 박은영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
  • 이희일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
  •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 신동혁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In order to elucidate seasonal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fter construction of seawall on macrotidal flat, a seasonal observations of surface sediments (total 450) and sedimentation rates on 4 transects have been investigated for 2 years. The eastern area of Iwon tidal flat, has been changed from semi-closed coast to open coast by construction of seawall, shows general seasonal changes similar to characteristics of open coast type, which represented both fining and bad sorted distribution due to deposition of fine sediments under low energy condition in the summer, and relatively coarser and better sorted distribution because of erosion of fine sediments in the winter. In considering angles of transects, distribution patterns of surface sediments,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eastern tidal flat are dominantly influenced by wave and tidal effects, respectively. As time goes by, the eastern tidal flat shows coarsening-trend of surface sediments caused by direct effect of tidal current, were and typhoon. Meanwhile the western area of seawall, which has been re-formed by construction seawall, is sheltered from northwesterly seasonal wind. The seasonal change pattern of western area of seawall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eastern tidal flat. Mean grain size and sorting of surface sediments during spring is finer and worse than those during summer. This seasonal change pattern maybe influenced by topographic effects caused from the construction of seawall. In consideration of all result, the transport of fin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which is supplied to limited sediments, shows clockwise circulation pattern that fine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e eastern tidal flat to the western area of seawall because of blocking of seawall in the winter and are transported reversed direction the summer. As a result, many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study area after construction of seawall; however, this change is still in progress and is expected to need continuous monitoring.

대조차 조간대에서 방조제 건설 후 발생하는 퇴적물의 분포특성과 퇴적환경의 계절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4계절을 대표하는 표층퇴적물을 채취, 분석하였으며, 4개의 측선에서 2년 동안 퇴적물과 퇴적률에 대한 조사가 병행되었다. 그 결과, 방조제를 축조함으로써 반폐쇄성 연안에서 개방형 연안으로 바뀐 이원 조간대의 동측 조간대 지역은 개방형 연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계절 변화, 즉 몬순 계절풍의 영향으로 여름에는 세립질 퇴적물이 퇴적되고 겨울에는 강한 북서계절풍에 의해서 세립질 퇴적물이 제거되는 계절 변화를 보인다. 또한 측선 경사도와 퇴적물 분표양상 등을 고려할 때, 북부 지역은 조석보다는 파랑작용에 크게 영향을 받고, 남부 지역은 파랑보다는 조석작용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강한 조류, 파랑 그리고 태풍 등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조립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반면 방조제 건설에 의해 새로운 형태로 변화된 서측 끝 지역은 조간대의 발달방향이 남동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북서계절풍의 영향에서 보호되는 지역으로 동측 조간대에서 보여지는 계절변화 양상과는 약간 다르게 봄에 세립하고 불량한 분급을 그리고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양호한 분급을 나타낸다. 이는 방조제 건설에 따른 지형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세립질 퇴적물 이동은 방조제에 의해서 겨울철에 동측 조간대에서 방조제 서측 끝 지역으로 이동하고 다시 여름철에는 동측 조간대로 이동되어지는 시계방향의 순환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방조제 건설 이후 이원 조간대 지역은 2년 동안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이것은 변화과정 중인 것으로 보이고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EX>$s^{-1}$ 값을 보인다. 그러나, 지반의 S파 속도와 Q$s^{-1}$를 결정하는 다른 많은 요인들이 있으므로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의 S파 속도와Q$s^{-1}$에 관한 자료와 연구가 집적되어야 할 것이다. 매듭이 필요하였고, Field와 Giant 매듭법은 2개의 추가 반 매듭이 필요하였다. 100 N이상의 부하를 견디기 위해서는 SMC 매듭법은 3개의 추가 반 매듭이 필요하였고, 다른 3가지의 매듭법은 4개의 추가 반 매듭이 필요하였다. 추가 반 매듭이 증가함에 따라 봉합사는 풀리는 것보다 끊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Duncan매듭법은 5개의 추가 반 매듭 이후에도 풀림현상을 보였고, 다른 3개의 매듭법은 3개의 추가 반 매듭 이후엔 75%이상이 봉합사의 풀림 현상보다는 끊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SMC, Field 매듭법은 92%, Ciant 매듭법은 75%)결론: 어떤 매듭법이라도 이동 매듭법 만으로는 주기적 부하 검사를 견디지 못했다. 모든 종류의 실험에서 SMC 매듭법은 최소2개의 두개의 추가 반 매듭이 필요하였다. Duncan 매듭법은 최적 매듭 유지력을 위해 3개 이상의 추가 반 매듭이 필요하였다. 모든 매듭법에서 3개나 그 이상의 추가 반 매듭이 최적 유지력에서 정점에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0, 2001, 2002, 기상연보
  2.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 '바다' 4 (2), 127-135
  3. 류성옥, 김주용, 장진호, 2001,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한국지구과학회, 22 (1), 30-39
  4. 오재경, 금병철, 1998, 서해안 몽산포 대조차 해빈의 퇴적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9 (3), 310-317
  5.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4 (4), 331-343 https://doi.org/10.4217/OPR.2002.24.4.331
  6. 장진호, 최진용, 1998,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집적양산과보존;한국 서해안의 곰소만. 한국해양학회지, 3 (3), 149-157
  7.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 4 (2), 117-126
  8. 최동림, 김성렬, 석봉출, 한상준, 1992, 한반도 황해 중부 태안반도 근해 사질퇴적물의 이동.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7 (1), 66-77
  9. 최진용, 박용안, 1996, 한반도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 부유퇴적물의 기초 해양학적 특성.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Oceanography, 1 (1), 46-54
  10. 최진용, 박용안, 1998, 하계동안 한국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에서 부유퇴적물의 운반양상.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Oceanography, 3 (1), 45-52
  11. 추용식, 권수재, 박장준, 박용안, 1996, 한국 서해중부 해빈에서의 퇴적작용의 계절변화. Journal of Ocean Research, 18 (1), 37-45 https://doi.org/10.1016/0141-1187(96)00013-2
  12. 해양연구원, 1993. 방조제 축조에 따른 퇴적환경변화연구 (Ⅰ). BSPN 00208-626-5, 175
  13. 한국해양연구원, 1994, 방조제 축조에 따른 퇴적환경변화연구 (Ⅱ). BSPN 00235-716-5, 174
  14. 한국해양영구원, 2000. 황해 연안역의 해양환경 복원을 위한 연구; 인공갯벌. BSPE 00785-00-1312-2, 269
  15. 해양연구원, 2001, 황해 연안역의 해양환경 복원을위한 연구; 인공갯벌 (Ⅰ-Ⅱ). BSPE 00821-00-0399-2, 505
  16. Alexander, C.R, Nittrouer, C.A., Demaster, D.J., Park, Y.A. and Park, S.C., 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era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 Sed. Pet., 61, 805-824
  17. Chun, S.S., Lee, H.J., Ryu, S.O. and Yang, B.C., 1998, Seasonal and local variation of sedimentation on the wave-dominated tidal flats, Southwestern coast of Korea: Comparison between inner-bay and open tidal flats. 15th International Sedimentological Congress, Alicante, Spain. (Abstract), 257 p
  18. Davis, Jr. R.A. and Hayes, M.O., 1984, What is a wave dominated coast?. Marine Geology, 60: 313-330 https://doi.org/10.1016/0025-3227(84)90155-5
  19.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s. 134 p
  20. Lee, H.J., Chu, Y.S., and Y.A. Park.,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7, 171-184 https://doi.org/10.1016/S0025-3227(98)00159-5
  21. Masslink, G. and Short, A.D., 1993, The effect of tide range on beach morphodyna mics and Morphology: A conceptual beach model. Journal of Coastal Research, 9, 785-800
  22.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 481-492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199-3
  23. Shallenger Jr., A.H., Howard, P.C., Fletcher III, C.H., and Howd, P.A, 1983, A system for measuring bottom profiles, wave and currents in the high energy nearshore environments. Marine Geology, 51: 63-76 https://doi.org/10.1016/0025-3227(83)90089-0
  24. Wang, B.C. and Eisma, D., 1988, Mud flat deposition along the Wenzhou coastal plain in the southern Zhejiang, China, In: Tide-Influenced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Faciess, de Boer, P.L., van Gelder, A., and Nio, S.D. (eds.), Boston Reidel Publications, Amsterdam, 233-263
  25. WeII, J.T., Adams, C.E.J., Park, Y.A., and Frankenberg, E.W., 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 channel processes on a high-tida-range mudflat, west coast of South Korea. Marine Geology, 95, 111-130 https://doi.org/10.1016/0025-3227(90)90044-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