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in Regional Geographical Studies of Americ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세계화시대의 아메리카지역 연구

  • Hong, Keum-S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University)
  • 홍금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Globalization has been the buzzword during the past couple of decades, embroiling humankind into the inescapable maelstrom of homogenization. Some critics identify the globalization process undergoing in the realm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cology with Americanization which entails Neoconservatives' scheme to stretch out the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The top-down transcontinental movement, however, deems to confront localization or a reasoned resistance from the local driven by the spiritual attachment to places and, in that sense, regional identity. What is needed to cope with this complex circumstance of glocalization is to be acquainted with beth the global sense of the local and the localized sense of the global at once. For this, it seems indispensible to do justice to area studies. As far as American studies are concerned, this research field has so far been tainted by an overdose of politics,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law and sociology. Regional analysis which constitutes the reason d'etre of the discipline of geography has remained marginal to the political economic mainstream. It is the mounting concerns about America and enhanced research caliber that raises the regional geographical studies of America on the right track. Particularly, a number of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mid-1990s owing to the combined efforts of practitioners, institutions and periodicals.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training of new generation of American specialists, advance in research infrastructure, and generous funding will stimulate geographical investigation of America in the coming future.

국제사회는 세계화의 소용돌이에 휩싸여 있다. 정치, 경제, 문화, 생태의 다양한 영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의 이념적 토대 위에 신보수주의자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패권확대 과정, 즉 미국화로 달리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헤게모니의 일방적 강요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지역정체성을 근간으로 하는 상향적 운동으로 지방화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세계화와 지방화가 양립하는 상황에서 지방에 대한 세계적인 인식과 세계에 대한 지방적 인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리학계는 한국지리는 물론 해외지역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화의 중심에 있는 미국을 포함한 아메리카에 대한 연구는 그간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법학, 사회학 등 일부 학문에 의해 그 본질이 왜곡되면서 지역 자체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학계의 패전구도에서 소외되어온 지리학의 경우 지역연구를 학문의 존재이유로 내걸고는 있지만 위상에 걸맞는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주변적인 분야로 남아있었다. 다행스럽게도 1990년대 중반을 넘기면서 아메리카지역에 대한 연구가 양과 질 양면에서 꾸준한 신장세를 보였다. 이는 아메리카지역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대와 지리학계의 연구역량의 강화로 인한 결과이다. 향후 아메리카지역 연구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전문 연구인력의 양성, 연구설비의 확충, 재원조달의 측면에서 획기적인 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