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Middle School Level

  • 발행 : 2004.12.30

초록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2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2개월 동안 과학일기쓰기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총 192편의 일기를 작성하였는데, 자신의 과학일기를 작성하여 탑재하고 다른 사람의 일기를 읽고 토론히는 활동을 하였다. 일기내용과 설문 응답 내용, 홈페이지에서의 상호작용 내용,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일기쓰기는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흥미, 과학적 태도 등 정의적 영역의 모든 대범주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 on science-related affect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middle school level. Twenty one gifted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science gifted program wrote science journals for two months in a web-supported environment. The data sources include student journals, questionnaire and exit interviews. The results indicate that science journal writing has influenced the students positively in the affective domain, and in particular, cognitions of science, interests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2. 노태희, 최용남(1996). 성역할의 관점에서 조사한 과학자와 자신에 대한 이미지의 격차 및 과학 관련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86-294
  3.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4.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2000). 중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5.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1992). 초중고 남녀 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8
  6.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2001). 중 .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58-565
  7. 심규철, 소금현, 이현욱, 장남기(1999).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68-375
  8.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2003). 과학영재의 과학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9. 윤여홍, 김언주, 문정화, 김영환(2001).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과학영재의 재능 발달에 끼친 촉진 요인과 방해 요인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245-270
  10. 임청환(1995). 국민학생과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194-200
  11. 임희준, 여상인(2001).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12. 정혁(2003). 물리개념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학 글쓰기 분석 - 쓰기 과제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3. 조석희, 최호정, 김현지, 윤혜원, 권경림(2002). 남 . 여학생이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가 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영재교육연구, 12(1), 31-60
  14. 진성욱, 이제용(1998). 생활 주변 자료의 활용이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3-121
  15. 허명(1993). 초 . 중 . 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6. Gagne, F. (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ining to exceptional human ability. In K. A. Heller, F. J.Monks & A. H. Passow(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ed, 69-87
  17. Gibson, H. L. & Bernhard, J. (2001) Enhancing the Science Literacy of Presetvice Teacher through the Use of Reflective Journ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ARST March 26-29, 2001 in St. Louis, MI
  18. Hand, B., Hohenshell, L., & Prain, V. (2004). Exploring students' responses to conceptual questions when engaged with planned writing experiences: A study with year 10 scienc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86-210 https://doi.org/10.1002/tea.10128
  19. Hanrahan, M. (1999). Rethinking science literacy: Enhancing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school science through affirmational dialogue journal wri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6), 699-71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8)36:6<699::AID-TEA7>3.0.CO;2-P
  20. Holliday, W., Yore, L., & Alvermann, D.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877-893 https://doi.org/10.1002/tea.3660310905
  21. Keys, C. W. (1999a). Language as an Indicator of Meaning Generation: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ten Discourse About Scientific Investig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9), 1044-1061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1)36:9<1044::AID-TEA5>3.0.CO;2-J
  22. Keys, C. W. (1999b).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15-13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15::AID-SCE2>3.0.CO;2-Q
  23. Keys, C. W. (2000). Investigating the thinking processes of eighth grade writers during the composition of a scientific laboratory repor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76-690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9)37:7<676::AID-TEA4>3.0.CO;2-6
  24. Klein, P. (1999). Reopening inquiry into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to-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1(3), 203-270 https://doi.org/10.1023/A:1021913217147
  25. Laudau, E., Weissier, K. & Golod, G. (1996). Motivation and giftednes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1, 139-142 https://doi.org/10.1177/026142949601100306
  26. Marland, S. P.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congress. Washington: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7. Prain, V., & Hand, B. (1999).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51-16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51::AID-SCE4>3.0.CO;2-S
  28.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29. Rivard, L. 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0
  30. Rivard, L. P. (2004). Are language-based activities in science effective for all students, including low achievers?. Science Education, 88, 566-593
  31. Rivard, L. P. & Straw, S. B. (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 566-593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09)84:5<566::AID-SCE2>3.0.CO;2-U
  32.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ume 1: Ment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