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of the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Singapore. The comparison focused on goals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of each country. The goals for science education in each country were very similar. They included understanding knowledge, acquiring inquiry skills, develop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appreciating S-T-S in most countries. But each country's goal setting level was different; some countries set the same goals for several grades and other countries set different goals for each grade. Goals provided for each grade were more specific and elaborated. Science contents were categorized differently in each country. In Korea, scienc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 energy, matter, living things, and earth. On the other hand, science contents were composed of 8 categories including unifying concepts and processes in science, science as inquiry, physical science, life science, earth and space science,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in personal and social perspectives, and history and nature of science in the United States. In the United Kingdom, science enquiry, life processes and living things, materials and their properties, and physical process were categories for science contents. In Singapore, science contents were organized by themes relevant to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Implications for goals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o prepare students to live and work in a future society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목표 및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먼저, 과학 교육 목표의 진술 체제와 수준은 나라마다 서로 달랐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 학년을 위한 과학 교육의 목표를 통일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목표를 비교적 폭 넓은 수준에서 진술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성취 수준별로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에는 상위 목표로 학교급별 목표를 먼저 제시하고 그 하위 목표로 학년별 또는 분야별(과목별)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과목별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목표의 진술 수준을 보면, 학교급별 목표는 폭 넓은 수준에서 진술되어 있는 반면, 학년별 혹은 분야별 목표는 학습 내용과 결부시켜 조금 더 상세하게 진술되어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학교급별로 과학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비교적 폭 넓은 수준에서 목표를 진술하고 있다. 과학 교육의 목표는 나라별로 큰 차이가 없으며,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지식의 습득, 과학 탐구,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과 관련된 내용은 모든 비교 대상국의 교육과정의 목표 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각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였을 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를 가르쳐야할 내용 체계의 하나로 포함하는 경향이 있었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제외하고 미국, 영국, 싱가포르에서는 과학 탐구를 가르쳐야 할 독립적인 내용 체계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둘째,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내용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내용 체계 방식에서 벗어나 내용 체계가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과학 내용과 관련하여 각국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비교적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우리나라, 일본,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학년별로 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는 몇 개 학년을 묶어서 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초 . 중 .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2. 김범기, 권재술, 김효남, 백성혜,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3. 김범기(2002). 중 .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세미나 자료집
  4. 박도순, 홍후조(1999). 교육과정과 평가. 서울: 문음사
  5. 이화국(2000).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52-666
  6. 장진주, 서혜애, 송방호(2003).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43-457
  7. 최영준(2003). 전기와 자기에 관한 초 . 중 .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8699
  8. 文部省(1998). 小學校學習指導要領
  9. 文部省(1998). 中學校學習指導要領
  10. 文部省(1999). 高等學校習指導要領
  11. Ministry of Education (2001). Science Syllabus. Singapore:Author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1).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tandards. Washington D.C.:Author
  1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Author
  14. QCA (2000). The National Curriculum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in England: Key Stage 1 and 2. U.K.: TSO
  15. QCA (2000). The National Curriculum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in England: Key Stage 3 and 4. U.K.: TSO
  16. http://www.moe.gov.sg/
  17. http://www.nc.uk.net/hom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