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about the Case that the High School Science Club Experience Affected on Students' Career Decision

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활동 경험이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준 사례 연구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interview with science major student about the effect of science club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The special interview was planned and arranged to meet students as well as their teacher. Both of the student whose background had experience in the science club activity, field science education during their high school days are majoring in physics and biology. In Summary: 1) science teacher's guidance deeply impressed the student that they respect the teacher as a occupational role model. 2) they really enjoyed the hands-on activities joyful. 3) their experience lasted so long time to keep them to stay in science field. 4) they had an experience of speaking before peer science club students who had similar interest and talent. We found the above four factors were really influential to encourage the subject to major in science career.

학교밖 과학교육과 과학 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이공계 전공 대학생과 과학동아리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동아리 활동과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에 흥미와 재능을 가지고 있는 학생틀이 1)직업적 역할 모델로서의 열정 있는 교사의 지도를 받으며, 2)직접적 체험을 경험하며, 3)오랜 기간 동안 과학실험을 준비하여, 4)비슷한 재능과 홍미를 가진 또래의 과학 동아리들 앞에서 발표하는 경험은 학생들을 과학관련 진로로 격려하는 좋은 요인임을 알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 동아리 활동이 인생의 진로를 선택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에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자신들의 학문적 진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믿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 1997-15호
  2. 김기태(1987). 특별활동 지도의 실제, 서울: 배영사
  3. 김성원, 채송화(1997). 중학교 과학과 클럽활동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511-524
  4. 김성원, 이현경(1996). 우리나라 과학캠프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175-189
  5. 김헌수(2003). 고등학교 새 교과서의 특징. 교과서연구, 38, 8-46
  6. 박성준(2004).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 이공계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27(1), 55-76
  7. 박종규(1987). 야외학습지도의 이론과 실제. 과학교육, n4, 41-48
  8. 이정원(1999). 영릉 과학 탐방을 통한 중학생들의 문화재에 대한 개방적 탐구활동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우영숙(1999). 청소년의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조직캠프 프로그램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윤진(2002).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관련진로 선택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906-921
  11. 장경애(2001).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드러난 부각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장창원, 김승연(2002). 구조적 측면에서 접근한 이공계 기피현상의 원인분석과 정책과제. 직업교육연구, 21(2), 115-140
  13. 중앙일보(2003). [사설] '한국의 뉴튼은 의대를 간다', 2003년 09월 23일
  14. 최경희(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서울: 교학사
  15. Clandinin, D. J. & Connelly, F. M. (1995).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landscap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6.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7. Gottfredson (1981). Circu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545-579 https://doi.org/10.1037/0022-0167.28.6.545
  18. Hodson, D. (1998),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owards a personalized approach. Buckingha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19. NSTA (2001). Community connec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 II, Virginia: NSTA press
  20. O'Maoldomhnaigh, M. & Mhaolain, V. N. (1990). The perceived expectation of the administor as a factor affecting the sex of scientists drawn by early adolescent girl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8, 69-74 https://doi.org/10.1080/0263514900080106
  21. Spradl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 Winston, New York
  22. Wellington, J. (1994). Using informational learning to enrich science education,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Routledge: London & New York, 284-294
  23. Wise, K. C. & Okey, J. R. (1983).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ous science teaching strategies on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19-435 https://doi.org/10.1002/tea.3660200506
  24. Choi, W. (2003). The enhancement of science instruction through Science Fairs in Korea. 2003 International Seminars,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 Woo, K. W., Choi, W. (2003). Effect of outdoorscience activity on students' career decision. 2003AC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