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es of Emulsion-type Sausages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R. (Gyeongnam Province Advanced Swine Research Institute) ;
  • Jung, J.D. (Gyeongnam Province Advanced Swine Research Institute) ;
  • Hah, Y.J. (Gyeongnam Province Advanced Swine Research Institute) ;
  • Lee, J.D. (Livestock Division, Kyongsangnamdo Provincial Office) ;
  • Jin, S.K.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Technology, Jin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Y.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Technology, Jinju National University) ;
  • Sung, N.Y.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Do, C.H. (Gyeongnam Province Advanced Swine Research Institute)
  • 이제룡 (경상남도 첨단양돈연구소) ;
  • 정재두 (경상남도 첨단양돈연구소) ;
  • 하영주 (경상남도 첨단양돈연구소) ;
  • 이중동 (경남도청 축산과) ;
  • 진상근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 이철영 (진주산업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도창희 (경상남도 첨단양돈연구소)
  • Published : 2004.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0.3%, 0.6%, 0.9%)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pH, color, TBARS,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pH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to those for control. The CIE $L^*$ and $a^*$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tended to similar to control, but the CIE $b^*$ valu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The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0.9%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40 and 60 days of storage. The residual nitrite content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to control. The hardnes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ut the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gumminess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in the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유자과피 분말을 각각 0.3%, 0.6% 및 0.9%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H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값을 나타내었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낮은 pH 값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명도와 적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0.6%와 0.9% 첨가 소시지보다 명도 값은 현저하게 높았다. 황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도 값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1일에는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소시지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 20일 이후에는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지방산화도 값을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직특성에서 단단함 정도를 나타내는 경도는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값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응집성, 탄력성 및 점착성(뭉침성)은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에 비해 높았다. 이상에서, 유자과피 분말을 함유한 유화형 소시지는 pH, 색도, 조직특성에서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지연시키고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rewer,M. S., McKeith, F., Martin,S. E., Dallmier, A. W. and Meyer, J. 1991. Sodium lactate on shelf-life , sensoη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pork sausage. J. Food Sci. 56:1176-1178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1.tb04727.x
  2. Buege, J. A. and Aust, S. 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302.
  3. Demeyer, D. I. and Vanderkerckhove,P. 1970.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161-165.
  4. Elliott, M. Jr. 1996. Biological properties of plant flavonoids: An overview. J. Pharmacognosy. 34: 344-348.
  5. Fox, J. B. Jr. and Nichalas, R. A. 1974. Nitrite in meat Effects of various compound on loss of nitrite. I. Agric. Food Chem. 22:302-306. https://doi.org/10.1021/jf60192a034
  6. Goldberg, I. 1994. Functional Food.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pp. 3-550.
  7. Karnm, L., McKeown, G. G. and Smith, D. M. 1965. New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nitrate and nitrite content of baby foods. J. A. O. C. 48(5):892. 38.
  8. Langlosis, B. E. and Kemp, J. D. 1974. Microflora of fresh and dry-cured hams and affected by fresh ham storage. J. Ani. Sci. 38:525-528. https://doi.org/10.2527/jas1974.383525x
  9. Lee, M. and Cassens, R. G. 1980.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residual nitrite. J. Food Sci. 45: 267-271.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0.tb02592.x
  10. Miller, A. J., Ackerman, S. A. and Palumbo, S. A. 1980. Effect of frozen storage on functionality of meat for processing. J. Food Sci. 45:1466-1468.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0.tb07541.x
  11. Nordin, H. R. 1969. The depletion of added sodium nitrite in ham. Can. Inst. Food Tech. J. 2. 79.
  12. Osburn, W. N. and Keeton, J. T. 1994. Konjac flour gel as fat substiute in low-fat prerigor fresh pork sausage. J. Food Sci. 59:484-489.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4.tb05543.x
  13. Pearson, A. M. and Young, R. B. 1989. Muscle and meat biochemistry. Academic Press. N. Y. pp. 457-460.
  14. Pszczola, D. E. 1993. Designer food. Food Technol. 47:92-101.
  15. Rogar, P. J. and Robert, W. R. 1971. Effect of shelf temperatures, storage periods and rehydration solution on the accept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reed-dried precooked commercially cured ham. J. Ani. Sci. 32:624-630. https://doi.org/10.2527/jas1971.324624x
  16.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industry. 13:44-50.
  17. SAS. 1996.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8.01 Editions, SAS Institute, Gray, NC, USA.
  18. Sebranek, J. B. 1974. Studies on the ultimate fate and distribution of nitrite in a cured meat production. pH. D.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 U.S.A.
  19. Sloan, AE. 2002. The top 10 functional food trends : the next generation. Food Technol. 56(4): 32-37.
  20. Tarladgis, B. G., Betty, M. W. and Margaret, T. Y. I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e foods. Amer. oil Chem. Soc. 37. 44.
  21. Witte, V. C., Krause, G. F. and Bailey, M. 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582-585.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0.tb04815.x
  22. 김수민, 종영석, 성삼경, 이일구, 이신호, 김대곤. 2002.. 솔잎 및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시지 개발.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1):20-29.
  23. 김수민. 2001년도 한국춧산식품학회 임시총회 및 제28차 추계학술발표회.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축산식품 개발(천연물과 기능성 육제품). pp.1-23.
  24. 문윤희, 김영길, 고창완, 현재석, 정인철. 2001. 숙성기간과 가열조건이 삶은 돼지 등심육의 조직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471-476.
  25. 박용서, 정순택. 1996. 저장온도 및 예열처리가 유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7(2):285-291.
  26. 本田正次. 古里和夫. 1988. 日本 原色 園植物圖鑑. pp. 192-195.
  27. 송미향. 2000. 감귤류의 쥬스가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28. 송형익, 문귀임, 문윤희, 정인철. 2000. 저온저장에 의한 햄버거의 품질 및 저장 안정성. 한국축산품학회. 20(1):72-78.
  29. 은종방, 정영민, 우건조. 1996. 감귤 과육 및 과피의 식이섬유와 플라보느이드 검색 및 정량. 한국식품과학회지. 28(2):371-377.
  30. 이경하. 2002. Blanching 처리가 냉동유자의 저장성 및 유자쨈 품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생산기술공학과 석사학위논문.
  31. 이영철, 김인환, 전진웅, 김현구, 박무현. 1994. 유자 착즙액의 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6(5):552-556.
  32. 이제룡, 정재두, 이정일, 송영민, 진상근, 김일석, 김회윤, 이진희. 2003. 뽕잎과 감잎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지방산화, 아질산염, 염기태질소 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 축산식품학회지. 23(1):1-8.
  33. 정경희. 2004. 유자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34. 정인철, 강세주, 김미숙, 양종범, 문윤희. 2003b. 쑥 분말 첨가가 등급이 다른 돼지고기로 제조한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4):285-291.
  35. 정인철, 강세주, 김종기, 현재석, 김미숙, 문윤희. 2003a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350-355.
  36. 정인철, 문귀임, 이돈우, 문윤희. 1994. 가열온도와 돈육소시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3:832-836.
  37. 정지흔. 1974. 한국산 유자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17:63-80.
  38. 정진웅, 이영청, 김종훈, 김의웅, 남궁배. 1996. 유자의 냉각특성 및 저장중 품질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8(6):1071-1077.
  39. 최성희, 권혁추,안댁준,박정로,오동환. 2003. 녹차분말 첨가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유량과 저장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4):299-308.
  40. 현재석,문윤희,강세주,김종기,정인철. 2003. 돈육 도체등급 및 쑥 분말 첨가에 따라 제조된 소시지의 품질 특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4):292-298.

Cited by

  1. Effects of Wheat Fiber on the Quality of Meat Batter vol.27, pp.1, 2007, https://doi.org/10.5851/kosfa.2007.27.1.22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at Batters Containing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Rice Bran vol.27, pp.2, 2007, https://doi.org/10.5851/kosfa.2007.27.2.228
  3.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vol.28, pp.1, 2008, https://doi.org/10.5851/kosfa.2008.28.1.14
  4. Effect of Hot Air Dried Kimchi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Sausages vol.28, pp.2, 2008, https://doi.org/10.5851/kosfa.2008.28.2.146
  5. Effect of Adding Levels of Rice Bran Fib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Product vol.28, pp.3, 2008, https://doi.org/10.5851/kosfa.2008.28.3.319
  6.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Containing Silkworm Powder and Vegetable Worm (Paecilomyces Japonica) during Cold Storage vol.28, pp.5, 2008, https://doi.org/10.5851/kosfa.2008.28.5.521
  7. Effect of Kimchi Powder Levels and Pork Sk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ver Sausages vol.29, pp.2, 2009, https://doi.org/10.5851/kosfa.2009.29.2.203
  8. Effects of Wheat Fiber and Isolated Soy Prote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ankfurter-type Sausages vol.29, pp.4, 2009, https://doi.org/10.5851/kosfa.2009.29.4.475
  9. Effects of Immersion Liquids Containing Citrus junos and Prunus mume Concentrate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comber japon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vol.43, pp.10, 2014, https://doi.org/10.3746/jkfn.2014.43.10.1555
  10. Development of Tteokgalbi Added with Red Pepper Seed Powder vol.45, pp.2, 2016, https://doi.org/10.3746/jkfn.2016.45.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