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quiry on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Discrete Mathematics using TI-92 Calculator - Matrix and Graph-

TI-92 계산기를 활용한 이산수학의 이해과정 탐구-「행렬과 그래프」단원을 중심으로-

  • Kang , Yun-Soo (Suncho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Mathematics Education) ;
  • Lee, Bo-Ra (Suncho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Graduate School)
  • 강윤수 (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
  • 이보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process of「Matrix and Graph」on discrete mathematics using TI-92 calculator.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process of two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the concepts of matrix and graph using TI-92 calculator. In this process, we collected qualitative data using recorder and video camera. Then we categorized these data as follows: students' attitude related to using technology, understanding process of meaning, expression and operation of matrix and graph, mathematical communication, etc. From this,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tudents inquired out the meaning and role of matrix by themselves using calculator. We could see that calculator can do the role of good learning partner to them. Second, students realized their own mistakes when they used calculator on the process of learning matrix. So we found that calculator could form the self-leading learning circumstance on learning matrix. Third, calculators reinforce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learning matrix and graph. That is, calculator could be a good mediator to reinforce mathematica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mong students on learning matrix and graph.

본 논문은 그래픽 계산기를 활용한 이산수학의 ‘행렬과 그래프’개념의 이해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TI-92 계산기를 활용하여 ‘행렬과 그래프’ 개념을 학습해 가는 두 명의 중학생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켐코더나 녹음기를 활용하여 질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들을 테크놀로지에 관한 학생들의 태도, 용어의 의미 이해, 행렬 연산의 이해 과정, 수학적 의사소통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그래픽 계산기를 활용하여 행렬의 의미와 역할을 그들 스스로 탐구하였으며 계산기는 이 과정에서 훌륭한 학습동반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이 오류를 범했을 때 그래픽 계산기가 에러메시지를 곧바로 출력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계산기는 교사와 학생들간, 혹은 학생들 사이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