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가을보리 안전재배지대 구분

Reclassification of Winter Barley Cultivation Zones in Korea Based on Recent Evidences in Climate Change

  • 발행 : 2004.12.01

초록

근래 지구온난화현상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가을보리 안전재배지역의 북상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987년부터 2000년까지 14년과 평년 (1971∼2000년)의 평균기온과 최저기온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지대 설정을 시도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년(1971∼2000년)의 1월 평균기온의 산술평균값에 의한 겉보리의 안전재배지대는 강화-이천-충주-춘양-고성 지역을, 쌀보리는 천안-금산-문경-안동-속초 지역을, 맥주보리는 광주-장흥-산청-포항-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다. 반면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4년(1987∼2000년)동안의 기상조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가을보리 안전재배지대가 평년기준보다 북상하여, 겉보리는 포천-춘천-원주-양평-춘양 지역을, 쌀보리는 강화-이천-충주-의성-고성 지역을, 맥주보리는 군산-순천-진주-밀양-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 되었고, 내한성이 가장 강한 품종들(올보리 등)은 인제, 홍천, 태백, 제천지역 등 태백산맥의 인근지역까지도 안전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평년(1971∼2000년)의 재현기간 10년에 해당하는 1월 평균기온에 의한 겉보리의 안전재배지대는 보령-남원-거창-구미-고성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고, 쌀보리는 서천-정읍-합천-영덕-속초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으며, 맥주보리는 부산, 통영, 여수 등 남부해안지역에서만 안전하고, 그 밖의 지역들은 10년에 한번이상 저온이 출현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4년 (1987∼2000년) 동안의 기상조건에서는 겉보리는 강화-이천-영주-고성 지역을, 쌀보리는 서산-남원-문경-안동-속초 지역을, 맥주보리는 광주-장흥-사천-울산-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고, 내한성이 가장 강한 품종들(올보리 등)은 강화-원주-충주-춘양-고성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다.

Recent warm winters were evaluated for a possible shifting of the northern limit for winter barley cultivation in Korea. Therefore, safe zones for winter barley cultivation were reclassified based on the average and minimum January air temperature in recent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analysis of mean values of January average air temperatures for 30 years (1971-2000), the northern limits for safe cultivation of hulled, naked, and malting barley were Ganghwa - Icheon - Chungju - Chunyang - Goseong, Cheonan - Geumsan - Mungyeong - Andong - Sokcho, and Gwangju - Jangheung - Sancheong - Pohang - Uljin lines, respectively. Meanwhile, based on the January average air temperature of 14 years (1987-2000) with warmer winters, the safe cultivation zone of winter barley shifted northward of the normal (1971-2000). So, the northern limits for hulled, naked, and malting barley were Pocheon - Chuncheon - Wonju - Yangpyeong - Chunyang, Ganghwa - Icheon - Chungju - Uiseong - Goseong, and Gunsan - Suncheon - Jinju - Miryang - Yeongdeok - Uljin lines, respectively. Winter barley cultivars with the strongest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can be grown up to the adjacent areas of Taebaek Mountains (that is, Inje, Hongcheon, Jecheon, and Taebaek areas). Based on January mean air temperatures of 10-year return period for 30 years (1971-2000), the northern limits for hulled and naked barley were Boryeong - Namwon - Geochang - Gumi - Goseong and Seocheon - Jeongeup - Hapcheon - Yeongdeok - Sokcho lines, respectively. It ~ppears that malting barley can be cultivated only at southern coastal areas (that is, Busan, Tongyeong, Yeosu, and Wando areas).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weather conditions of 14 years (1987-2000) with warmer winters, the northern limits for hulled, naked, and malting barley were Ganghwa - Icheon - Yeongju - Goseong, Seosan - Namwon - Mungyeong - Andong - Sokcho, and Gwangju - Jangheung - Sacheon - Ulsan - Uljin lines, respectively. The northern limit for winter barley cultivars including Olbori with the strongest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was the Ganghwa - Wonju - Chungju - Chunyang - Goseong line.

키워드

참고문헌

  1. 농업기술연구소, 1986: 한국의 농업기후 특성과 수도 기상 재해 대책. 농촌진흥청, 194pp
  2. 농업기술연구소, 1990: 주요과수재배지대의 기후특성. 농촌진흥청, 205pp
  3. 농촌진흥청, 1989: 농업지대별 작목배치도. 농촌진흥청, 741pp
  4. 농촌진흥청, 2000: 농업연구를 위한 통계적 방법. 농촌진흥청, 265-274
  5. 박문웅, 1999: 식량최대생산을 위한 맥류재배 확대방안, 환경친화형 농경지 고도 이용기술,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193-214
  6. 심교문, 이정택, 윤성호, 황규흥, 2000: 가을보리 재배기간 중의 기상변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 95-102
  7. 윤의병, 2000: 보리(대표저자 하용웅).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거록문화사 발행. 212-213
  8. 중앙기상대, 1988: 표고별 농업기후도. 중앙기상대, 103pp
  9. 차종환, 김건수, 1989: 농림기상학. 선진문화사 발행, 201-307
  10. 최돈향, 1987: 수도재배지대의 농업기후 구분. 연구와 지도, 농촌진흥청, 28(2), 1-5
  11. 최돈향, 윤성호, 1989: 농업기후지대 구분과 기상재해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34(별호), 13-33
  12. 최돈향, 2001: 신고 농업기상학(저자대표 김광식) 환경 . 과학영농을 위한. 향문사 발행, 45-46
  13. Ando, T., 1969: Weather influence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Journal of the Agricultural meteorology of Japan, 25(2), 132-133
  14. Ando, T., 1977: 再現期間(リターンピリオド)の推定方法. 新編業氣象 ハンドブック, 株式會社 養賢堂 發行, Tokyo, Japan, 806-808
  15. Daigo, Y., K. Nomura, and Y. Suzuki, 1953: Agrometeorological study for the locality of the crop damage in Japan(1st. report). Journal of the Agricultural meteorology of Japan, 8(3,4), 129-133
  16. Kojima, M., 1973: Climatic classification of Tohoku district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the Agricultural meteorology of Japan. 29(3), 165-172
  17. Schwab, G. O., R. K. Frevert, T. W. Edminster, and K. K. Barnes, 1980: Soil and water conservation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Inc., 35-51
  18. 坪井八十二, 1986: 氣象と農業生産. 株式會社 養賢堂, 東京, 日本, 259pp
  19. 坪井八十二, 1995: 農業氣象學. 株式會社 養賢堂, 東京, 日本, 27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