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Incident Detection Algorithms focused on APID, DES, DELOS and McMaster

돌발상황 검지알고리즘의 실증적 평가 (APID, DES, DELOS, McMaster를 중심으로)

  • 남두희 (교통개발연구원) ;
  • 백승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김상구 (여수대학교 교통물류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This paper is designed to report the results of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dures in relation to the Freeway Incident Management System (FIMS) prototype development as part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The central core of the FIMS is an integration of the component parts and the modular, but the integrated system for freeway management. The whole approach has been component-orientated, with a secondary emphasis being placed o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t the sites. The first action tak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was the selection of the required data for each components within the existing infrastructure of Korean freeway system. After through review and analysis of vehicle detection data, the pilot site led to the utilization of different technologies in relation to the specific needs and character of the implementation. This meant that the existing system was tested in a different configuration at different sections of freeway, thereby increasing the validity and scope of the overall findings. The incident detection module has been performed according to predefined system validation specifications. The system validation specifications have identified two compone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atterns which were outlined in the validation specifications; the on-line and off-line testing procedural frameworks. The off-line testing was achieved using asynchronous analysis, commonly in conjunction with simulation of device input data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to test and calibrate the incident detection algorithms focused on APID, DES, DELOS and McMaster. The simulation was done with the use of synchronous analysis, thereby providing a means for testing the incident detection module.

돌발상황으로 인한 지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돌발상황의 신속한 검지, 확인 및 대응은 고속도로를 비롯한 교통관리의 중요한 요소이며, 고속도로 본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속도로 교통관리 시스템 중 돌발상황 관리시스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고속도로에는 3종류의 돌발상황 검지알고리즘(APID, DELOS, DES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순환도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등에 설치된 검지알고리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내 도로 및 교통상황에 적합한 파라미터의 검증 없이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있어, 검지기 자료의 유효성이 낮은 점등과 함께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cMaster를 포함한 돌발상황 검지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해 방법론 및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교통여건별, 시나리오별로 평가하였다.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돌발상황 검지알고리즘을 개발한다는 것은 어려우며 각 도로 및 교통조건에 맞추어 최적의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돌발상황 검지알고리즘 개발은 교통류 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체차로의 검지기 데이터를 적용하기보다는 개별차로 검지기 데이터 중심의 검지알고리즘이 요구되는데 기존 알고리즘의 수행능력의 한계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검지기 자료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 고속도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분 이상의 집계간격 검지기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이종검지기간 특성차이를 반영한 검지기별 파라메타 적용과, 위치별 교통류 특성에 따른 최적 파라미터의 사용이 이루어져야 한다.적용할 수 있다. 제시된 모형은 ILOG Cplex 및 Solver를 활용하여 기존 차량경로문제와 비교하여 다양한 고객 및 차량 수에 대하여 최적해에 근접한 해를 쉽게 구할 수 있다.보여 우위를 판단할 수 없었지만, 확정적 통행배정모형으로 설정한 경우, Stackelberg게임 접근법이 Cournot-Nash게임 접근법 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다.수안보 등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이상대 주변에는 대개 온천이 발달되어 있었거나 새로 개발되어 있는 곳이다. 온천에 이용하고 있는 시추공의 자료는 배제하였으나 온천이응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시추공의 자료는 사용하였다 이러한 온천 주변 지역이라 하더라도 실제는 온천의 pumping 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주변 일대의 온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지열류량 값을 보인다. 한편 한반도 남동부 일대는 이번 추가된 자료에 의해 새로운 지열류량 분포 변화가 나타났다 강원 북부 오색온천지역 부근에서 높은 지열류량 분포를 보이며 또한 우리나라 대단층 중의 하나인 양산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한 밀양단층, 모량단층, 동래단층 등 주변부로 NNE-SSW 방향의 지열류량 이상대가 발달한다. 이것으로 볼 때 지열류량은 지질구조와 무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층대 주변은 지열수의 순환이 깊은 심도까지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류현상으로 지표부근까지 높은 지온 전달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구. 도철웅(1999), '고속도로 돌발상황 검지를 위한 통합 알고리즘 구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한교통학회 제36회 학술발표회
  2. 이영인. 황준환(2001), ‘간선도로 돌발상황 검지기법 개발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73-87
  3. 한국도로공사(2000), ‘교통관리시스템 S/W 기능개선 용역-교통알고리즘 기능개선 부문-,’ 최종보고서
  4. Abdulhai, Baher and Ritchie, Stephen G.(1999) Enhancing the universality and transferability of freeway incident detection using a Baysian-based neural network,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7
  5. Dia, Hussein and Rose, Geoff(199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eural network freeway incident detection models using field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5C
  6. Gall, Ana I., and Hall, Fread L.(1989) Distinguishing between incident congestion and recurrent congestion: a proposed logic,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32
  7. Persaud, Bhagwant N., and Hall, Fread L.(1989) Catastrophe theory and patterns in 30-second freeway traffic data - implications for incident dete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23A